온라인게임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42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포털 사이트 겨냥한 금감원 사칭 피싱 악성코드 주의’ 택배 사이트 배송조회 페이지에서 유포된 악성코드 토렌트 사이트에서 유포된 hosts.ics 생성 악성코드 최신 영화 공유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다앙한 DDoS 공격 기능이 있는 악성코드 PUP(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습격 한컴 엑셀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백도어 유포 전자 계정 명세서로 위장한 스팸 메일 이메일로 도착한 문자메시지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금융사 피싱 앱 주의 문자메시지 수집하는 사생활 침해 악성 앱 주의 성인 악성 앱 주의 안드로이드 랜섬웨어 주의  3) 보안 이슈 주요 정부기관 DNS 서버 DDoS 국제 사회에 영향을…

usp10.DLL 파일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악성코드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개인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는 몇 년에 걸쳐서 한국에서 꾸준히 발견되고 있으며, 이제는 매주 주말마다 새로운 변형들을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들과 연동하여 유포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 관련 악성코드에 대해서 ASEC에서는 그 변형들이 악용하는 유포 기법들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잇다. 2011년 10월 – ws2help.dll을 교체하는 온라인 게임 악성코드 분석 2012년 3월 – CVE-2012-0754 취약점을 이용해 전파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2012년 7월 –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악용으로 온라인 게임 악성코드 유포 2012년 7월 – GongDa Pack의 스크립트 악성코드 증가 2012년 8월 –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지속 발견 2012년 10월 –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 변천사 이러한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개인 정보 탈취를 목적으로하는 악성코드가 최근에서는 usp10.DLL 파일을 악용하여 보안 소프트웨어를 무력화 기능까지 포함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온라인 게임 관련 악성코드는 크게 3가지 부분으로…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 변천사

ASEC에서는 그 동안 악성코드에 의해 정상 윈도우(Windows) 시스템 파일을 변조시켜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들을 공개하였다. 특히 다양한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 관련 트로이목마(OnlineGameHack)에 의해 온라인 게임의 메인 실행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악성코드인  DLL 파일을 안정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윈도우 시스템의 정상 DLL 파일들을 감염 시키는 형태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악성코드들을 일반적으로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라고 불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악성코드에 의해 사용되는 패치드 기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 DLL 파일에 악의적인 DLL 파일을 로드하는 코드 삽입 후 이 코드로 분기하도록 패치하는 형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패치드 형태로서, 과거 3년 전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패치의 대상이 되었던 윈도우 정상 DLL 파일들은 imm32.dll, olepro32.dll, dsound.dll과 같다.  패치가 된 DLL 파일은 위 이미지와 같이 파일의 섹션 끝 부분에 쉘코드(Shellcode)가 삽입 되어…

배너광고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사례

안철수연구소는 ASEC 블로그를 통해서 배너광고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사례에 대해서 여러차례 다룬 바 있고 이번에 발견된 사례도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다. 1. 악성코드 유포는 어떻게? 이번에 발견된 사례는 아래 그림과 같은 형식으로 유포가 되었다.                                                  [그림 1] 배너광고를 통한 악성코드 유표과정 2. 악성코드 감염은 어떻게? [그림 1]처럼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된 배너광고에 노출된 PC가 만약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다면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확률이 높다. [그림 2] 배너에 삽입된 악성 스크립트 악성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브라우저 버전, 취약점등 조건에 따라 최종적으로 아래 주소에서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한다. http://***.78.***.175/Ags/AGS.gif 배너광고에 노출된 PC에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및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된 취약점은 아래와 같다. ※ CSS 메모리 손상 취약점(MS11-003, CVE-2010-3971)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1-003 ※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CVE-2011-2140 http://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1-2140 http://www.adobe.com/support/security/bulletins/apsb11-21.html 위 취약점들을 사용한 악성 스크립트에 포함된 쉘코드는 아래 그림처럼 암호화된 URL가지고 있으며…

게임 계정 탈취. OnlineGameHack [Cyban] 조치가이드

이번 포스트에서는 최근들어 급증하고 있는 온라인게임핵(Cyban) 의 증상과 조치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증 상 특정 사이트에서 악성코드를 다운로드+드랍하고 아래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합니다.  < 캡쳐된 패킷 > 1. 온라인게임사이트 계정정보 탈취 – 악성코드는 인터넷익스플로러에 인젝션되어 아래 그림과 같이 하드코딩된 특정 게임사이트의 목록에서 쿠키값(ID,PW 등)을 노립니다.   < 게임사이트 목록 > …. …. var b=LOGIN.getCookieValue(“CAT”);if(b.length>0){var a=b.split(“+”);if(a.length>1){return a[1];}}return”2″; …. …. < 쿠키값 탈취하는 코드의 일부 > 2. 키보드로깅 – 악성코드는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인젝션되어 Key정보를 후킹합니다.   < dll 인젝션 > 3. Autorun 을 이용한 자동실행 + 확산, File 숨기기  – Autorun 취약점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이동디스크매체를 통해 퍼뜨리고, 자신을 은폐하기 위해 레지스트리를 조작합니다. < inf file내용 > < 탐색기-숨김폴더보기 레지스트리 + 부팅실행 레지스트리 > 4. 안티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AV Kill  – 아래 그림과 같이 A.V(안티바이러스) 프로세스들의 이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