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2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8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2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보안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변조된 정상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핵 유포 ActiveX라는 이름의 악성코드 게임부스터 패스트핑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유포된 악성 스팸 메일 이메일을 이용한 어도비 CVE-2009-0927 취약점 악성코드 유포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MS12-060(CVE-2012-1856)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의 CVE-2012-1535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런던 올림픽 악성 스팸메일 Xanga 초대장을 위장한 악성 스팸메일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지속 발견 사우디아라비아 정유 업체를 공격한 Disttrack 악성코드 악성코드…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2012년 9월 17일 블로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57760)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를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버전 7과 8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음을 공개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HTML 파일을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오염으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현재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9월 14일을 전후하여 실제 발생하였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8월 26일 공개된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 관련 서버에서 발견되어, 자바(Java) 취약점 악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번에 유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에는 Exploit.html (304 바이트), Moh2010.swf (13,631 바이트), Protect.html (973 바이트)와 111.exe (16,896 바이트) 총 4개의 악성코드가 사용되었다. 최초 Exploit.html (304 바이트)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Moh2010.swf (13,631 바이트)을 호출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Moh2010.swf (13,631 바이트)는 DoSWF라는…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7일 ASEC에서는 8월 29일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를 통해 자바(Java) JRE에서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악용한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고 공개하였다. 해당 CVE-2012-4681 자바 취약점외에도 다른 CVE-2012-0507 자바 취약점 역시 다수의 악성코드 유포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바의 경우 JVM을 이용한 샌드박스(SandBox) 개념의 보안 기능을 운영체제에 제공하고 있다. 악의적인 코드의 경우 JVM에서 시큐리티 매니져(Security Manager)를 기준으로 차단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파일을 디스크에 쓰거나 실행하는 경우에 정책(Policy)에 허용 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명령은 허용 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발견된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샌드박스를 우회 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1. 샌드박스 자체 무력화 – CVE-2012-0507 취약점 해당 CVE-2012-0507 취약점은 AtomicReferenceArray에서 발생한다. AtomicReferenceArray 클래스의 경우 시큐리티 매니져에서 ArrayObject에 대한 타입(Type)을 체크 하지 않으며, 해당 배열 생성시 역직렬화를 하고, 역직렬화된 악의적인 코드를 doWork에…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31일 ASEC에서는 8월 29일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를 통해 오라클 자바 JRE(Java Runtime Environment) 7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4681)을 발견하였음을 공개하였다. 한국 시간으로 8월 31일 금일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보안 권고문 “Oracle Security Alert for CVE-2012-4681“를 통해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악용하는 JAR 파일이 공다 팩(GongDa Pack)과 블랙홀(Blackhole)이라 불리는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을 통해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윈도우 악성코드와 맥(Mac) 악성코드 등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악용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해당 보안 패치를 즉시 설치하여 해당 CVE-2012-4681 취약점을 악용하는 다양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보안 패치를 포함한 최신 버전은 웹 사이트 “무료 Java 다운로드” 또는 “Java SE Downloads“를…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29일 미국 현지 시각으로 8월 26일 보안 업체 FireEye에서 블로그 “ZERO-DAY SEASON IS NOT OVER YET“를 통해 오라클(Orcle) 자바 JRE(Java Runtime Environment) 7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4681)을 발견하였음을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자바 JRE 취약점은 개발 업체인 오라클에서 해당 보안 취약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번에 발견된 자바 JRE 관련 제로 데이 취약점은 다음 버전의 소프트웨어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Oracle Java 7 (1.7, 1.7.0) Java Platform Standard Edition 7 (Java SE 7) Java SE Development Kit (JDK 7) Java SE Runtime Environment (JRE 7) 해당 자바 JRE 관련 취약점은 최초 아래 이미지와 같이 중국에서 제작된 공다 팩(GongDa Pack)이라 불리는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었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