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스팸 메일과 결합된 웹 익스플로잇 툴킷

이메일에 첨부되어 스팸 메일(Spam Mail)처럼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은 대부분이 ZIP으로 압축된 EXE 파일이 첨부되거나 EXE 또는 SCR 등의 파일 확장자를 가진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이메일 본문에 단축 URL(URL Shortening) 또는 하이퍼 링크를 제공하여, 특정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웹 사이트 또는 피싱(Phishing) 웹 사이트로 연결을 유도하는 형태들도 발견되고 있다. 금일 새벽 국내에 유명 IT 업체인 HP를 사칭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유도하는 악의적인 스팸 메일들이 대량으로 유포되었다. 이번에 유포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하는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 메일 제목 – 다음 중 하나 Scan from a HP ScanJet #[임의의 숫자열]  Scan from a Hewlett-Packard ScanJet #[임의의 숫자열] Scan from a Hewlett-Packard ScanJet [임의의 숫자열] * 메일 본문 Attached document was scanned and sent to you using…

Adobe Flash CVE-2012-0779 취약점 악용한 Targeted Attack

한국 시각으로 5월 4일 저녁 Symantec에서는 블로그 “Targeted Attacks Using Confusion (CVE-2012-0779)“을 통해 Adobe Flash Player에 존재하는 CVE-2012-0779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하였다. 이와 관련해 Adobe에서도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을 통해  Flash Player에 CVE-2012-0779 취약점이 존재하며,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공개하였다. 이 번에 공개된 해당 CVE-2012-0779 취약점은 Adobe Flash Player 11.2.202.233와 그 이전 버전이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Symantec에서는 이 번에 발생한 Targeted Attack은 전통적인 기법으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하여 진행 되었으며, 첨부 파일로는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을 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제작된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파일이 존재하였다. ASEC에서는 해당 워드 파일들을 확보하여,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워드 파일 내부의 1Table에 취약한 Adobe Flash 파일인 SWF을 호출할 수 있도록 제작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6 발간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2년 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PC에 존재하는 모든 문서 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 웹캠으로 도촬하는 악성코드 가짜 KB국민은행 피싱 사이트 주의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로 전달되는 단축 URL 특정 기관을 목표로 발송되는 발신인 불명의 이메일 주의 시리아 반정부군을 감시하기 위한 악성코드 유포 변형된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발견 MS11-073 워드 취약점을 이용하는 타깃 공격 발생 어도비 플래시 취약점 이용한 문서 파일 발견 wshtcpip.dll 파일을 변경하는 온라인게임핵 발견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게임핵 악성코드 발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3) 보안…

어도비 플래쉬 CVE-2012-0754 취약점 악용한 문서 파일들 발견

최근 발견되고 있는 타겟 공격(Targeted Attack) 이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형태의 공격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과 같은 전자 문서 파일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도비 리더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금일 해외에서 어도비 플래쉬에 존재하는 CVE-2012-0754 취약점을 악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파일 또는 엑셀(Excel) 파일을 이용한 타겟 공격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은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존재한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 플래쉬에 존재하는 CVE-2012-0754 취약점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은 아니며,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12년 2월 15일 어도비에서 보안 권고문 “APSB12-03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 을 통해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이번에 발견된 CVE-2012-0754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Adobe 다수 취약점을 위한 보안 패치 배포

어도비(Adobe)에서 한국 시각으로 1월 11일 어도비 리더(Adobe Reader)와 아크로뱃(Acrobat)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이번 1월에 배포하는 보안 패치와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 어도비에서는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통해 관련 사항들을 밝히고 있다. 이번 보안 패치에 대상이 되는 어도비 제품군들은 다음과 같다. Adobe Reader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Reader 9.4.7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dobe Reader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Macintosh Adobe Acrobat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Acrobat 9.4.7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dobe Acrobat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Macintosh 특히 이 번 보안 패치 중에는 2011년 12월 7일 발생하였던 어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