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 툴마다 압축해제 방식의 차이를 이용한 공격기법 (WinRAR 사용유도) Posted By jongpilparkahnlab , 2020년 3월 30일 ASEC 분석팀은 3월 23일 비 정상적인 압축 악성 파일이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메일의 내용은 아래의 그림과 같고, 첨부파일은 ZIP 확장자이나, “Use Winrar.” 라는 문구를 포함하여 특정 압축해제 프로그램으로 압축해제를 유도한다. [그림 .1] 메일로 유포된 압축 파일 형태의 악성코드 압축된 악성 코드가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은 이전부터 알려진 방식이다. 그러나 해당 메일의 경우 사용자에게 [그림 1.]의 빨간 글씨(Use Winrar)와 같이 ‘WinRAR’로 압축 해제할 것을 유도한다. 해당 방식으로 유포된 샘플은 현재까지 총 2가지 이름으로 확인되었다. MV_GLOVIS_B35C_191850_12_02_2020.zip Scan_Covid19_2020.zip 아래 설명부터는 코로나 이름과 관련된…
ISO파일 첨부 악성코드 유포 주의 Posted By jongpilparkahnlab , 2017년 10월 19일 안티바이러스 제품의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이메일에 첨부한 악성코드의 포맷을 실행파일에서 압축(zip)포맷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던 제작자들이 파일 포맷을 ZIP에서 ISO 포맷으로 변경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1] ISO 파일 포맷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이메일 ISO파일은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CD-ROM 매체를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 디렉터리로 파일을 관리 한다. 해당 구조는 표준화가 되어있어 운영 체제가 이에 대응하고 있으면 CD-ROM으로 인식하여 읽어낼 수 있다. ZIP 포맷에서 ISO 포맷으로 변경된 배경은 Windows8 이전 버전에서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있어야 CD-ROM으로 인식 후 실행 가능하였지만, Windows8 마일스톤 버전에서 추가된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ISO 이미지가 CD-ROM으로 마운트 되어 아래 그림과 같이 동작한다. [그림-2] Windows8 이상 버전에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 실행되는 ISO 파일 별도의 설정 없이 사용자가 내부 파일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림과 같이 문서파일 아이콘으로 위장하고 있는 실행파일은 사용자가 주의하지 않는다면 오인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