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키워드 검색 시, 피싱 페이지 통한 CoinMiner 유포 중 Posted By ASEC , 2020년 6월 29일 구글에서 크랙, 키젠, 시리얼 번호 등의 키워드 검색 시, 상단에 노출되는 피싱 페이지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을 위한 마이너(Miner) 악성코드가 유포 중이다. 관련 자료는 작년 12월 경 Avira에서도 공개한 바 있으며, 피싱 페이지의 경우 한국어 페이지로도 제공되어 국내 사용자들도 상당수 감염된 것이 확인되었다. [ https://www.avira.com/en/blog/coinloader-a-sophisticated-malware-loader-campaign ] 구글 검색을 통해 감염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흐름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감염 흐름도 피싱 페이지에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압축 파일(*.ZIP)을 다운로드 받고 내부의 실행파일(*.EXE)을 실행할 경우, 위의 과정을 거쳐서 결국 “TiWorker.exe”라는 프로세스에 의해 코인 마이닝(암호화폐 채굴)이 진행된다….
암호화폐 가치에 따른 마이너 악성코드 동향 (2018) Posted By ASEC , 2019년 1월 29일 2018년 마이너(Miner) 악성코드 샘플과 감염 리포트 수량이 크게 증가했다. 해당 악성코드의 샘플 수량은 2017년의 12만7천건에서 2018년도는 299만건으로 무려 2,254% 증가율을 보였다. [그림 1] Miner 악성코드 샘플 수량 및 감염 리포트 수량 vs 비트코인 가격 (※ 비트코인 시세: 코인마켓캡(https://coinmarketcap.com) 자료 기준) 마이너 악성코드의 폭발적인 증가는 암호화폐(Cryptocurrency, 일명 가상화폐)의 급격한 가치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그림 1]과 [그림 2]의 비트코인(Bitcoin, BTC)과 모네로(Menero, XMR) 가격 추세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2018년 1분기 암호화폐의 가격 상승과 함께 샘플 및 감염 리포트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참고로 암호화폐의 대명사로 알려진 비트코인과 달리 모네로는 거래의 익명성이 보장되어 누가 얼마나 보낸 것인지 알 수 없으며, 성능 좋은 고가의 GPU(Graphics Processing Unit)를 장착한 시스템이 아닌 일반 CPU(Central Processing Unit) 환경에서도 채굴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마이닝 동작하는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8년 1월 17일 암호화폐 시장이 달아오름과 동시에 채굴 방식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PC에 악성 채굴기 실행파일을 몰래 설치하는 악성코드뿐만 아니라[각주:1],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여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방식이 2017년부터 폭증하고 있다.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동작하는 마이닝 방식은 기존의 실행 파일 기반과는 다르게 악성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이용해 동작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추가로 악성 자바(JAVA) 파일 또는 웹어셈블리(WebAssembly) 파일을 로드할 수 있으며,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접속자는 개인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채굴을 하게 되고 그 결과는 공격자의 지갑 주소에 전송된다. 파일 기반의 악성코드는 최종 페이로드를 사용자 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해 파일 다운로드 후 실행하기까지 과정이 필요하지만, 웹 기반의 마이닝 악성코드는 단순 웹 페이지 접속 조건만을 만족하면 되기 때문에 공격자 입장에서는 좀 더 손쉬운 채굴 방식이 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최초의 마이닝 방식은 암호화폐 가격이 지금보다 낮았던 2011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