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5일 – 앱, OS 취약점 노린 악성코드 대량 유포, 좀비폰 본격 등장 예상 – 스마트폰 전용 백신, 공식 마켓 활용 등 사용자 주의 당부 글로벌 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 약칭 ‘안랩’]는 5일 2011년에 발생했던 주요 스마트폰 악성코드 트렌드와 2012년에 예상되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1년의 주요 이슈는 ▶과금형 악성코드 폭발적 증가 ▶유명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생활 침해형 애플리케이션 증가 ▶ 온라인뱅킹정보 노리는 악성코드 발생 등을 꼽았다. 또한, 2012년 한 해 예상되는 주요 스마트폰 보안이슈는 ▶ 애플리케이션, OS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유포 가능성 ▶커널을 공격하는 루트킷 기능의 발전 ▶ 좀비폰 및 봇넷 본격적 활성화 ▶국내를 겨냥하는 모바일 악성코드 등장 등이다. 2012년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1]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악성코드를 위한 안티 바이러스 체크 웹 사이트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6일 최근에 발생하는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와 같은 보안 사고들에서는 기업 내부 네트워크로 메일이나 메신저(Messenger),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이용해 백도어(Backdoor) 기능을 수행하는 악성코드를 전달하여 감염을 시도한다. 이렇게 전달 되는 악성코드들 대부분은 공격자에 의해 사전에 안티 바이러스(Anti-Virus) 소프트웨어에 의해 진단이 되는지 테스트 과정을 거쳐 공격 성공율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의 과정은 최근 러시아에서 발견된 아래와 같은 프라이빗 AV 체커(Private AV Checker)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되며 모두 금전적인 댓가를 지불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웹 사이트에서 35개의 안티 바이러스 제품들의 검사가 가능하며 1회 검사에 1 센트이며 20 달러(한화 약 22,000원)를 지불할 경우에는 500회까지 검사가 가능하다고 광고 중 이다. 해당 웹 사이트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당 웹 사이트는 다시 아래 러시아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악성스팸경보] FedEx 메일을 위장한 악성스팸! Posted By ASEC , 2011년 5월 9일 빈번하게 발견되는 악성코드를 첨부한 악성 스팸 메일은 facebook, twitter 등의 소셜네트워크 뿐만 아니라DHL, UPS, FedEx 등과 같은 택배회사를 위장하여 악성 스팸 메일을 유포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고 있다. 이 번에 FedEx 메일로 위장하여 악성코드를 첨부한 스팸메일이 발견되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 링크는 블로그를 통해 기존에 FedEx 메일로 위장한 악성 스팸에 대해 포스팅 된 글이다. 2009/10/20 Fedex Tracking [숫자] 참고로, UPS, DHL 등의 메일로 위장한 악성스팸도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블로그에 게시된 글들은 아래와 같다. 2010/07/02 UPS #(숫자) 제목의 악성스팸메일 주의하세요! 2010/01/12 UPS Delivery Problem NR.숫자 (2) 2009/11/06 [주의] “UPS Delivery Problem” 스팸 메일 (2) 2009/10/28 “UPS Invoice 5305325782943” 스팸 메일 주의! (1) 2009/11/11 [악성 스팸메일 주의!] “DHL Tracking Number 3YMH6JJY” (1) 2009/10/20 DHL service. Please get your parcel. Delivery NR.[숫자] (9) 2009/10/16 DHL…
‘야마꼬!’ 키보드를 누르면 특정 소리가 들린다? Posted By ASEC , 2010년 10월 27일 1. 서론 키보드의 특정 키를 누르면 해당 키에 따라 특정 소리가 나는 조커(컴퓨터에 자체에 크게 나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사용자를 놀라게 하는 악성 프로그램들을 말한다.)류의 악성코드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 조커(Joker)란 무엇인지 아래 URL에 자세한 정보가 있으니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menu_dist=3&seq=13338 2. 감염 시 증상 아래 그림은 한 포털 사이트 Q&A에 작성된 질문입니다. [그림 1] 한 포털 사이트 Q&A 페이지에 등록된 질문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은 특정 키 ( 스페이스 바, 엔터 키 등) 를 누르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특정 소리가 들리게 됩니다. 스페이스 바 : “야마꼬” 엔터 키 : “아하하하” 그 외 Tab, Delete 키 등 [표 1] 키보드 키에 따른 소리 또한 모니터링 툴 및 작업관리자, 레지스트리 편집기 등의 실행을 방해하여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