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08 ~ 20220814)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8일 월요일부터 8월 14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1.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38.4%, 다운로더 16.8%, 랜섬웨어 2.2%, 코인마이너 악성코드가 0.6%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3.1%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국내 대학교 대상으로 악성 CHM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국내 특정 대학교를 대상으로 악성 CHM 파일이 다수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유포 중인 악성 CHM 파일은 지난 5월에 소개했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림 1] 은 악성 CHM 내부에 존재하는 HTM 파일의 코드이며, 파일명 “2022년도_기초과학연구역량강화사업_착수보고회_개최_계획 Ver1.1.chm” 으로 유포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자가 악성 CHM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해당 HTM 파일의 코드가 실행된다. 해당 스크립트는 hh.exe 를 통해 CHM 파일을 디컴파일 후 LBTWiz32.exe 파일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정상 이미지(KBSI_SNS_003.jpg) 를 사용자 PC 화면에 생성하여 악성 행위를…

특정 군부대 유지보수 업체 대상으로 AppleSeed 유포

ASEC 분석팀은 최근 특정 군부대 유지보수 업체 대상으로 AppleSeed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AppleSeed 악성코드는 Kimsuky 조직에서 주로 사용되는 백도어성 악성코드로 최근 여러 대상을 타깃으로 활발히 유포하고 있다. 이번에는 특정 군부대의 이름이 담긴 아래와 같은 파일명으로 악성코드 유포가 이루어졌다. 20220713_****부대_설치 예상 일정V004_***시스 수정_6.xls 최초 엑셀 문서 형태(XLS)로 유포가 이루어졌으며, 백신을 우회하기 위해서인지 엑셀 파일은 암호로 보호되고 있다. 해당 문서 파일을 실행하면 [그림 2]와 같이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쓰여있으며,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면 매크로에 의하여 [그림 3]으로 본문이…

V3 Lite 아이콘을 위장하여 유포되는 악성코드

ASEC 분석팀은 V3 Lite 아이콘을 위장한 악성코드가 닷넷(.NET)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유포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실제 V3 Lite 제품의 아이콘과 매우 유사하게 제작하여 사용자를 속이기 위한 목적으로 판단되며, 최근 한 달 간에는 AveMaria RAT와 AgentTesla 악성코드가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아이콘의 외형 상으로는 실제 V3 Lite 제품의 아이콘과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AveMaria 악성코드는 원격제어 기능의 RAT(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로서, C&C 서버에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다양한 악성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보통 AveMaria 악성코드는 안티바이러스 제품진단을 우회하기 위한 목적으로 AgentTesla, Lokibot, Formbook…

국내 의료기관의 취약한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된 미터프리터(Meterpreter)

ASEC 분석팀에서는 취약한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악성코드를 모니터링 하던 중 국내 의료 기관에서 사용 중인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서버를 공격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는 환자의 의료 영상을 디지털로 관리하고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써 병원에서 의료 영상을 시공간 제한 없이 조회하고 판독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현재 많은 병원에서 PACS를 사용하며, 이 PACS 시스템에는 여러 전문 업체가 있어 의료 기관에 따라 사용하는 PACS 제품이 다를 수 있다. 이번 확인된 사례는 ‘dcm4che‘라 불리는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