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FARGO 랜섬웨어 (Mallox) Posted By ASEC , 2022년 9월 19일 ASEC 분석팀은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악성 코드들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최근 FARGO 랜섬웨어가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FARGO 랜섬웨어는 GlobeImposter 랜섬웨어와 함께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대표적인 랜섬웨어이며 과거에는 .mallox 확장자를 사용함에 따라 Mallox 랜섬웨어라고도 불린다. –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Remcos RAT–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발트 스트라이크–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발트 스트라이크 (2)–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인…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29 ~ 20220904) Posted By ASEC , 2022년 9월 6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29일 월요일부터 9월 4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5.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28.1%, 백도어 18.5%, 랜섬웨어 6.2%, 코인마이너 및 뱅킹 악성코드가 각각 0.7%로 집계되었다. Top 1 – GuLoader 22.6%를 차지하는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22 ~ 20220828)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31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22일 월요일부터 8월 2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1.0%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31.8%, 다운로더 21.4%, 랜섬웨어 5.8%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3.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15 ~ 20220821)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24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15일 월요일부터 8월 2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7.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24.2%, 다운로더 13.7%, 랜섬웨어 3.7%, 코인마이너 악성코드가 0.6%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38.5%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국내 기업 타겟의 FRP(Fast Reverse Proxy) 사용하는 공격 그룹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16일 최근 외부에 노출된 취약한 서버를 시작으로 하여 침투한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까지 장악하는 침해 사고가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취약한 Atlassian Confluence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 사례 국내 의료기관의 취약한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된 미터프리터(Meterpreter) 취약한 My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AsyncRAT 악성코드 이번 사례는 IIS 웹서버나 MS Exchange 서버 침해 사고로 기존에 알려진 유형과 동일하나, 개인이 아닌 특정 공격 그룹으로 추정되는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해당 그룹의 가장 큰 특징을 FRP 오픈소스 도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 그룹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버를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