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NET 외형의 FormBook 악성코드 유포 중

안랩 V3 제품에는 악성코드 위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탐지 기능이 있다. 이 중 ‘앱 격리 검사 (App Isolate Scan)’ 기능은 의심 프로세스에 대한 탐지 및 격리를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랜섬웨어 외 인포스틸러나 다운로더 등의 악성코드를 가상 환경에 격리하여 탐지할 수 있다. 안랩 ASD 인프라에 아직 수집되지 않았거나 악성코드의 정적, 동적 행위 패턴이 확인되지 않은 악성코드를 선제적으로 격리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 소개하는 FormBook(폼북) 악성코드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이용 도중 시스템에 다운로드 되어 실행된 악성코드이다. 이후 V3 제품의…

국내 유명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인 Amadey Bot

2022년 10월 17일인 오늘, KISA로부터 ‘카카오 서비스 장애 이슈를 악용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주의 권고’ 보안 공지가 게시되었는데, 해당 내용에 따르면 이메일을 통해 카카오톡 설치파일(KakaoTalkUpdate.zip 등)로 위장하여 유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EC 분석팀은 관련 샘플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해당 류로 보이는 파일을 확보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유포되는 파일명과 아이콘이 실제 메신저 프로그램과 동일하여 일반 사용자들로 하여금 실행을 유도한다. 메일에 첨부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kakaotalk_update.exe 악성코드 초기 실행 시, 해당 프로세스를 재귀 실행하여 자기 자신 프로세스에 인젝션한다. 인젝션 된 프로세스는 C2 서버에 접속하여,…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003 ~ 20221009)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0월 3일 월요일부터 10월 09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45.0%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39.6%, 백도어 14.6%, 랜섬웨어 0.4%,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1.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22.1%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926 ~ 20221002)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26일 월요일부터 10월 02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8.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35.1%, 랜섬웨어 14.7%, 백도어가 11.6%,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16.7%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919 ~ 20220925)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19일 월요일부터 9월 25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1.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21.1%, 다운로더 17.2%, 랜섬웨어가 10.3%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0.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