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

다곤 랜섬웨어 DAGON LOCKER 유포 중

DAGON LOCKER 다곤 랜섬웨어(이하 DAGON 랜섬웨어) 국내 유포가 확인되었다. 안랩 ASD 인프라의 랜섬웨어 의심 행위 차단 이력으로 최초 발견되었으며, 지난 10월에는 국내 모 기관이 안랩에 악성 의심 파일로 접수하기도 하였다. DAGON 랜섬웨어의 주 유포 경로는 피싱 또는 이메일 첨부파일이지만 서비스형 랜섬웨어(Ransomware-as-a-Service)이기 때문에, 공격자에 따라 유포 경로와 공격 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DAGON 랜섬웨어는 파일 외형이 패킹되어 있어서, 프로세스 메모리에 생성되는 64비트 EXE 바이너리가 핵심 코드이다. 이 코드는 2020년부터 유포되었던 MountLocker(마운트라커) 또는 Quantum(퀀텀) 랜섬웨어와 매우 유사하다. 동일한 코드를 쓰는 부분과 기능이…

악성코드 폭탄, 크랙 위장 Dropper 악성코드 유포 재개

한동안 유포가 중단되었던 크랙 위장 드로퍼 악성코드가 다시 활발하게 유포되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를 실행할 경우 동시에 수많은 악성코드에 감염된다. 악성코드 “폭탄”인 셈이다. 상용 프로그램의 크랙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는 “단일 악성코드” 유형과 “드로퍼형 악성코드” 유형으로 양분되어 활발하게 유포되었다. ASEC 분석팀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 유포를 상세히 모니터링 중이며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여러 번 소개한 바 있다. 악성코드는 검색엔진에서 상위에 노출되는 악성 사이트로 부터 유포된다. 공격자는 다양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크랙 다운로드 사이트로 위장한 수많은 악성 사이트를 제작하였으며 해당 페이지에서 Download 버튼 등을 클릭 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031 ~ 20221106)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0월 31일 월요일부터 11월 6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64.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25.9%, 백도어 6.6%, 랜섬웨어 2.2%, 코인마이너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9.6%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MOTW(Mark of the Web) 우회를 시도한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ASEC 분석팀은 지난 10월 13일 매그니베르(Magniber)랜섬웨어의 변화에 대한 글을 공개했다. 현재도 활발하게 유포되는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백신의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해왔다. 이 중 Microsoft 에서 제공하는 파일의 출처를 확인해주는 Mark of the Web(MOTW)을 우회한 것으로 확인된 2022.09.08 ~ 2022.09.29 기간 동안의 스크립트 형태에 대해 소개한다. 날짜 확장자 실행 프로세스 암호화 프로세스 복구 환경 비활성화프로세스 복구 환경 비활성화(UAC 우회) 2022-05-07 msi msiexec.exe msiexec.exe regsvr32.exe fodhelper.exe 실행시 참조 레지스트리 조작(HKCU:\Software\Classes\ms-settings\shell\open\command) 2022-06-14 msi msiexec.exe 실행 중인 프로세스 regsvr32.exe fodhelper.exe 실행시 참조 레지스트리…

6개월만에 Excel 파일을 통해 다시 유포 중인 Emotet 악성코드

ASEC 분석팀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변형되어 유포된 Emotet 악성코드에 대해 여러 차례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공개한 바 있다. 최근 Emotet 악성코드의 유포가 다시 활발해진 정황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활발한 유포 양상을 보이던 것부터 약 6개월이 지난 시점이며, 당시 유포되었던 Excel 파일과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무작위적인 이메일의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것과, Excel 시트에 하얀색 텍스트로 여러 수식을 분산은닉한 뒤 시트숨김 조치를 하는 것은 모두 동일한 방식을 보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번에 유포된 엑셀 파일들은 지금까지 유포되던 파일들과 몇 가지 다른 특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