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스틸러 공격자들이 수익을 얻는 방식 Posted By Sanseo , 2022년 12월 26일 인포스틸러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나 이메일 클라이언트 같은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 정보나 가상화폐 지갑 주소, 파일과 같은 사용자의 정보들을 탈취하는 것이 목적인 악성코드이다. 2022년 3분기 ASEC 리포트에 따르면, 인포스틸러는 실행 파일 포맷 기준 고객사로부터 접수되거나 수집된 악성코드 유형 중 절반이 넘는 수를 차지하고 있다. 다운로더 유형의 악성코드들도 실질적으로 인포스틸러나 백도어 유형의 악성코드들을 설치하기 때문에 유포되는 수량으로 따지자면 일반 사용자나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인포스틸러는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 시리얼 생성 프로그램의…
CAPTCHA 화면이 있는 피싱 PDF 파일 대량 유포 중 Posted By ASEC , 2021년 11월 1일 올해 들어 CAPTCHA 화면이 있는 피싱 PDF 파일이 급격하게 대량 유포되고 있다. PDF 파일 실행 시 CAPTCHA 화면이 보이는데, 이는 실제 유효한 CAPTCHA는 아니다. 단순 이미지에 악성 주소로 리다이렉트 할 수 있는 링크가 연결되어 있다. 안랩 ASD 인프라에 수집된 관련 유형은 올해 7월 ~ 현재까지만 하더라도 약 150만 개이다. 대부분 국외 유포 위주로 보이고 이로 인한 국내 피해 건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확인된 피싱 PDF 파일 유형은 화면 구성이나 동작 방식 등이 다양하였지만, 특정한 한 유형이 이렇게 대량으로…
외화송금 통지를 가장한 NanoCore RAT 유포중! Posted By ASEC , 2021년 8월 5일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외화송금 통지를 가장한 NanoCore RAT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확인하였다. NanoCore RAT의 경우 주로 피싱메일을 이용하여 유포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주의가 더욱 더 필요하다. 먼저, 피싱 메일은 아래와 같이 특정 캐피탈 회사를 사칭하여 “[00캐피탈]외화송금도착 통지” 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으며, 본문에는 사용자에게 첨부파일을 확인하고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은 특정 캐피탈 회사에서 실제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그림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첨부파일을 받아 확인해보면 R03 확장자를 가진 RAR 계열 파일로 확인이 되며,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을 풀면 아래 사진과 같이…
Job Offer Letter로 위장한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1년 8월 2일 ASEC 분석팀은 최근 스팸메일에 첨부된 워드파일을 통해 인포스틸러 유형의 KPOT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매크로 허용 시 최종적으로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를 내려받는 사례는 종종 있었으나,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Job Offer Letter로 위장한 스팸메일에 특정암호가 걸린 워드파일을 이용한 것이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스팸메일의 정확한 유입경로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Job Offer Letter의 내용을 담은 것과 수신인을 구분하여 부여한 것처럼 보이는 비밀번호를 메일 본문에 기재한 것으로 보아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좀 더 교묘한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신인 : Team Lead 메일 제목…
파일리스로 동작하는 Remcos RAT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1년 7월 19일 ASEC 분석팀은 악성 Excel 매크로파일을 통해 Remcos RAT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mcos RAT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본문 하단에 링크한 게시글을 통해 상세하게 소개한 바 있다. 스팸메일을 통해 유입되는 방식은 동일하지만, 여러 단계의 로더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Remcos RAT 악성코드가 파일리스로 동작한다는 것이 주목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적인 동작 방식을 요약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공격자는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악성 매크로가 포함된 Excel 파일을 유포하는데, 매크로가 실행이 되면 PowerShell 을 이용하여 JS 파일과 추가 데이터를 내려받는다. 이후 Remcos RAT 악성코드는 윈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