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AhnLab ‘안전한 문자’로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세요!

  스마트 폰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는 악성 앱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려는 악성 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악성 앱 제작자는 지능적으로 사용자에게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설치 유도 방식 중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스미싱이다.   이러한 스미싱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안랩에서는 ‘안전한 문자’ 앱을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게 되었다.     ‘안전한 문자’는 모바일 백신 제품이 아니므로, 스마트 폰 제조사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는 V3 모바일 백신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를 권한다.   앞으로 안랩에서 제공하는 ‘안전한 문자’를 사칭한 악성 앱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공인 마켓에서 ‘AHNLAB’ 개발자를 확인하고 설치 해야 한다. [그림 1] 안랩 ‘안전한 문자’ Play 스토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hnlab.safemessage 구글 플레이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안전한…

금융사 피싱 앱 주의(3)

  안드로이드 폰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금융 관련 정보를 탈취하려는 Bankun 악성 앱의 변종이 발견되었다. 기존에 발견되었던 방식보다 더욱더 진화한 형태로 점점 그 방식이 정교해지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앱 설치 시에 아래와 같이 아이콘 모양은 ‘Play 스토어’ 아이콘과 같으나 정상 앱 이름의 경우 ‘Play 스토어’ 인 반면 악성 앱은 ‘Google App Store’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악성 앱 아이콘 모양   악성 앱 실행 시에는 설치파일이 손상되었다는 오류와 함께 아래와 같은 팝업 메시지를 보게 된다.   [그림 2] 앱 실행 시, 팝업되는 메시지   위 그림에서 ‘확인’이나 ‘취소’ 버튼을 터치 시에 앱의 아이콘은 보이지 않게 되며, 앱이 서비스로 실행되게 된다. 아래 그림은 앱 정보 화면이며, 앱이 삭제된 후에도 서비스로 등록되어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한국인터넷진흥원을 사칭한 스미싱 주의!

  스마트 폰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금전적 이득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포함한 인터넷 뱅킹 정보를 탈취하려는 악성 앱이 다수 발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악성 앱 제작자는 지능적으로 사용자에게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스미싱은 [그림 1]과 같이 한국인터넷 진흥원을 사칭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방침]이라는 내용으로 앱의 설치를 권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림 1] 한국인터넷진흥원을 사칭한 스미싱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면 앱(APK)을 다운로드 받게 되어 있다.   다운받은 악성 앱의 설치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권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악성 앱 권한정보   설치 후 아이콘과 앱 이름은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하지만 앱을 실행하게 되면 아이콘이 사라지며, 기기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려고 시도한다.   [그림 3] 악성 앱 실행 전(좌) /…

AhnLab V3를 사칭한 스미싱 주의!

스마트 폰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는 악성 앱과 인터넷 뱅킹 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탈취하려는 시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악성 앱 제작자는 지능적으로 사용자에게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스미싱은 [그림 1]과 같이 안랩을 사칭하고 있으며, 스미싱을 예방하기 위해 (가짜) V3 Mobile 앱을 설치하라는 내용이다.   자사에서는 불특정 다수에게 이러한 불안전한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는다.   안랩 V3 모바일 제품은 스마트 폰 제조사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반드시 스마트 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경로를 통하여 제품을 설치해야 한다.               [그림 1] 안랩을 사칭한 스미싱     메시지에 포함된 앱(APK)을 설치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생성된다.   [그림 2] 악성 앱 아이콘   아이콘 모양은 V3 이지만 앱 이름은 “내가사께!”로 나타난다. 앱 제작 시 이름에…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4 발간

안랩 ASEC에서 2013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4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메모리 패치형 Banki의 온라인 뱅킹 정보 탈취 기법 분석 고객님, 영수증이 발급되었습니다 아마존 구매 관련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특정 은행 대출 승인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휴가철, 사용자의 휴가비를 노려라!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토렌트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Your reservation is now confirmed!’ 델타 항공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V3 모바일 설치 위장 스미싱 주의! 금융사 피싱 앱 주의 3) 보안 이슈 자바 취약점과 결합된 메모리 해킹 인터넷 뱅킹 보안 대책 ASEC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안 위협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