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코드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 변천사

ASEC에서는 그 동안 악성코드에 의해 정상 윈도우(Windows) 시스템 파일을 변조시켜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들을 공개하였다. 특히 다양한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 관련 트로이목마(OnlineGameHack)에 의해 온라인 게임의 메인 실행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악성코드인  DLL 파일을 안정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윈도우 시스템의 정상 DLL 파일들을 감염 시키는 형태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악성코드들을 일반적으로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라고 불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악성코드에 의해 사용되는 패치드 기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 DLL 파일에 악의적인 DLL 파일을 로드하는 코드 삽입 후 이 코드로 분기하도록 패치하는 형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패치드 형태로서, 과거 3년 전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패치의 대상이 되었던 윈도우 정상 DLL 파일들은 imm32.dll, olepro32.dll, dsound.dll과 같다.  패치가 된 DLL 파일은 위 이미지와 같이 파일의 섹션 끝 부분에 쉘코드(Shellcode)가 삽입 되어…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그 동안 알려진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한글 파일들 다수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파일들은 총 4개로 안전여부.hwp (47,616 바이트), 운영체제 레포트 제목.hwp (31,744 바이트), 120604 전북도당 통합진보당 규약(6월 2주차).hwp (63,488 바이트)와 민주통합전라남도당 입당,정책 입당원서(제1호).hwp (102,912 바이트)이다. 해당 한글 파일들…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증가

현지 시각으로 6월 12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XML 코어 서비스(Core Services)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었음을 보안 권고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19615) Vulnerability in Microsoft XML Core Service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을 통해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취약점은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며,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와 오피스(Office) 2003과 2007 버전에서 악용이 가능하다. 해당 취약점은 현재까지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는 제로 데이 취약점이며, 임시 방안으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는 픽스 잇(Fix it)을 보안 공지 “Microsoft 보안 공지: Microsoft XML Core Services의 취약성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를 통해 배포 중에 있다. 해당 XML 코어 서비스를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해외에서 발견되는 사례가 서서히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발견된 해당…

MS12-037(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한국 시각으로 6월 13일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이와 동시에 보안 업체인 맥아피(McAfee)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배포한 보안 패치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7 –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99988)“에 포함된 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이 실제 발생하고 있음을 블로그 “Active Zero-Day Exploit Targets Internet Explorer Flaw“를 통해 공개하였다. ASEC에서는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해당 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코드 임을 확인하였으며, 최초 유포는 홍콩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을 통해 진행 되었다. 홍콩에 위치한 해당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쉘코드(Shellcode)를 가진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동시에 유포되었다. 해당 CVE-2012-1875 취약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삭제된 개체에 액세스하는 방식의 오류로 인해 메모리가 손상되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그리고 해당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ROP(Return-Oriented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윈도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 보호 기능인…

변형된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발견

ASEC에서는 1월 27일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CVE-2012-0003)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가 발견되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1월 11일 배포한 보안 패치로 해당 취약점을 제거 할 수 있음을 공개하였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는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극동 아시아 권을 주된 대상으로 유포된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온라인 게임 관련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것음을 밝힌 바가 있다. 2월 2일 국내 웹 사이트에서 Heap Feng Shui라는 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새로운 형태의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악성코드 변형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새롭게 발견된 해당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ASEC에서 추가적인 조사 과정에서 1월 30일 경에 제작되어 유포가 진행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Heap Feng Shui라는 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새로운 형태의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아래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Heap Feng Shui는 2007년 Black Hat Europe에서 최초로 발표된 기법으로 순차적인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할당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