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을 가진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1월 1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사례들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한 바가 있다. 최근인 10월 25일에는 대통령 선거 관련 내용을 가진 취약한 한글 파일이 유포된 사례가 있어, 한국 사회에서 주요 관심 사항으로 부각되는 주제들을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하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들이 정교해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주요 관심 사항 중 하나인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이 10월 31일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hwp (309,612 바이트)”라는 파일명으로 유포되었으며,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을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 파일과 같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KOREA TRUST PROCESS)”라는 제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을 보안 패치가 설치되지 않은 취약한 한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열게 되면 사용자 모르게 백그라운드로 “~ZZ.tmp(102,400 바이트)“를…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2일 ASEC에서는 2009년부터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이라는 웹을 기반으로 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들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악용하도록 제작된 툴킷의 위험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웹 익스플로잇 투킷의 한 종류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킷을 이용하여 실제 사회적 주요 이슈나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같은 일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들을 포함한 스팸 메일(Spam Mail)의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한 사례들이 다수 존재한다. 2012년 6월 – 스팸 메일과 결합된 웹 익스플로잇 툴킷 2012년 7월 –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2012년 8월 –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특히 올해 2012년 4분기에는 미국과 한국에는 대통령 선거라는 정치적인 중요한 이슈가 존재하다. 이러한 중요한 이슈를 악용하여 스팸 메일에 존재하는 악의적인 웹 사이트 링크로 유도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 사례에는 아래…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8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5월 25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4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8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4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 DOC 문서를 첨부한 스피어 피싱 메일 북한 광명성 3호 발사 및 핵 실험을 주제로 한 악성코드 4.11 총선 이슈에 발견된 악성코드 런던 올림픽 개최를 이용한 악성코드 핵 안보 정상회담 PDF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유포되는 악성 HWP 파일 국내 주요 금융기관 피싱 사이트 다수 발견 페이스북을 통해 유포되는 보안 제품 무력화 악성코드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보안 제품 동작을 방해하는 온라인 게임핵 변종 Mac OS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 위협의 증가 윈도우, Mac OS를 동시에 감염시키는 악성코드 자바, MS 오피스…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2일 한 해를 마무리하는 2011년 12월에는 연말 연시에는 사회적인 분위기를 악용하는 사회 공학 기법들이 적용된 악성코드나 다른 보안 위협들이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사례로 이미 “크리스마스 카드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 사례도 있으며 다양한 “신년 축하 카드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사례도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2011년 연말 연시 분위기에 금전적인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유포되었던 허위 백신들에서 2012년도 최신 버전인 것으로 위장한 사례가 2011년 11월 30일 발견되었다. 해당 허위 백신은 2012년도 최신 버전임을 표기한 것 외에도 최근 다양한 보안 위협들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 및 사용되는 클라우드 안티 바이러스(Cloud Anti-Virus) 인 것으로도 위장하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허위 클라우드 안티 바이러스 2012는 과거에 발견되었던 허위 클라우드 백신과는 외형적인 인터페이스 부분만 변경되었지, 기능이나 동작면에서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업데이트 기능동 아래 이미지와 같이 실제 최신 엔진을…
화학 업체를 대상으로 한 니트로 보안 위협 Posted By ASEC , 2011년 11월 2일 해외 시각으로 2011년 10월 31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니트로(Nitro)로 명명된 보안 위협을 공개하였으며, 공개된 니트로 보안 위협에 대해서는 해외 언론들을 통해서도 알려져 있다. 시만텍에서 이번에 공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한 공격이었으나, 최초인 4월 말경에는 인권 관련단체인 NGO를 대상으로 시작 된 것으로 밝히고 있다. 화학 업체들을 대상으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최초 2011년 7월에서 시작되어 해당 보안 위협이 탐지된 9월까지 진행 되었으며, 원격 제어를 위한 C&C(Command and Control) 서버의 경우에는 4월경에 구축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공격 대상이 된 기업은 화학 관련 업체 29개와 군수 업체를 포함한 다른 업종의 기업 19개로 총 48개 기업이 이번 니트로 보안 위협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시만텍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해당 니트로 보안 위협에 의해 감염된 시스템들은 지리적으로 미국과 방글라데시(Bangladesh)가 가장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