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탐지 우회를 시도 중인 BlueCrab 랜섬웨어 Posted By ASEC , 2021년 1월 28일 BlueCrab 랜섬웨어(=Sodinokibi Ransomware)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활발하게 유포되는 랜섬웨어로, 여러 검색 키워드를 활용하여 생성된 가짜 포럼 페이지를 통해 유포되는 것이 특징이다. 유포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은 JS 파일 실행 시 감염 프로세스가 시작된다. 해당 유포 페이지는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접근이 쉽기 때문에 꾸준하게 많은 사용자들의 감염이 보고되는 중이다. ASEC 분석팀은 해당 랜섬웨어와 관련된 다양한 포스팅을 게시하고 있다. BlueCrab 랜섬웨어는 AV를 우회하기 위해 활발하게 변형을 만들어 내는데, 각 감염 단계별 다양한 변형으로 진단 우회를 시도한다. 해당 랜섬웨어는 긴 시간…
새롭게 변형되어 유포 중인 JS.BlueCrab 랜섬웨어 Posted By ASEC , 2020년 10월 26일 ASEC 분석팀은 JS형태로 유포되는 BlueCrab 랜섬웨어의 감염 과정에서 큰 변형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여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JS.BlueCrab 랜섬웨어는 다운로드 페이지를 위장한 피싱 페이지로부터 유포된다. 공격자는 취약한 워드프레스 환경의 웹 서버를 탈취하여 다수의 악성 게시글을 업로드 하며 해당 악성 게시글에 접속 시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페이지가 출력된다. 각 게시글마다 키워드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의 악성코드 다운로드를 유도한다. 모니터링 과정에서 다음 그림처럼 외국어(독일어)로 된 피싱 페이지도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피싱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된 .JS 파일은 BlueCrab 랜섬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스크립트로…
랜섬노트가 변경 된 BlueCrab 랜섬웨어 EXE (2020.03.11) Posted By ASEC , 2020년 3월 19일 ASEC분석팀은 작년부터 활발히 유포 중인 Bluecrab(=Sodinokibi) 랜섬웨어 실행파일(EXE)이 3월 11일 부터 랜섬노트가 변경되어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인 된 유포방식은 Drive-By-Download 기법으로 다운로드되어 실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력서와 같은 방식으로 유포 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랜섬노트 (3월 19일) 변경 된 바탕화면 (3월 19일) 특정 파일, 폴더를 제외 하고 감염하는 것과 특정 프로세스가 존재하면 종료하는 행위, 특정 서비스 비활성화, 파워쉘을 이용해 볼륨섀도우카피를 삭제하는 방법까지 모두 과거 BlueCrab 과 동일하다. [감염 제외 폴더] “program files” “boot” “msocache” “appdata” “program files (x86)” “perflo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