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 유발 악성코드 분석

3월 20일 14시경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가 발생하는 사고가 한국에서 발생하였으며, ASEC에서는 악성코드 감염 후 디스크 손상으로 부팅 불가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현재 해당 악성코드는 운영체제에 따라 디스크를 손상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세한 디스크 손상 내용은 아래 분석 정보에 기술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V3 엔진(엔진버전:  2013.03.20.06 이상)으로 업데이트 할 경우 검사 및 치료가 가능하며, 3월 20일 오후 6시경부터 제공 중인 전용백신으로도 검사 및 치료 할 수 있다. [UPDATE – 2013/03/25] 현재까지 ASEC에서 분석한 이번 주요 방송사 및 은행 전산망 장애를 유발한 악성코드는 다음 이미지와 같이 A 케이스와 B 케이스로 나누어서 발생하였다. 우선 위 이미지 좌측 편의 A 케이스에 사용되었던 파일들에 대한 세부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드로퍼인 File A는  %Temp% 폴더에 다음 파일들을 생성하게 된다. 1) File B : MBR 파괴 기능…

로그인, 로그오프 무한 반복 증상!

악성코드 감염 혹은 치료 후 윈도우 로그인 시 암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거나 암호 입력 없이 로그인 중 계속해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고 로그오프이 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악성코드 중 아래의 윈도우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는 악성코드가 많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아래값과 같습니다. 하지만 악성코드로 인해 아래 값이 아닌 엉뚱한 값으로 변경이 되는 경우 윈도우가 정상적인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 “Userinit”=”C:\Windows\system32\userinit.exe,” 이러한 증상은 해당 레지스트에 등록된 악성코드의 파일을 삭제 후, 해당 레지스트리 값을 정상적으로 고쳐주지 않고 재부팅을 하게 되는 경우 발생합니다. 최근 이러한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안티바이러스(백신) 제품을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악성코드 치료 도중 강제로 재부팅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아래 조치방법대로 해보시기 바랍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