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한국에서 많이 사용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데이(0-Day, Zero-Day) 취약점 또는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는 2010년 무렵부터 국내에서 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취약점이 발견될 때마다 한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발견된 해당 취약점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도 꾸준히 배포하였다. 금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을 포함하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HWP)은 986,624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한글 파일 내부에 다른 PE 파일이 인코딩 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악성코드 감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악성코드들과 로그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해당…

MS12-037(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한국 시각으로 6월 13일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이와 동시에 보안 업체인 맥아피(McAfee)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배포한 보안 패치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7 –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99988)“에 포함된 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이 실제 발생하고 있음을 블로그 “Active Zero-Day Exploit Targets Internet Explorer Flaw“를 통해 공개하였다. ASEC에서는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해당 CVE-2012-1875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코드 임을 확인하였으며, 최초 유포는 홍콩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을 통해 진행 되었다. 홍콩에 위치한 해당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쉘코드(Shellcode)를 가진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동시에 유포되었다. 해당 CVE-2012-1875 취약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삭제된 개체에 액세스하는 방식의 오류로 인해 메모리가 손상되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그리고 해당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ROP(Return-Oriented Programming) 기법을 이용하여 윈도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 보호 기능인…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8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4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8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4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 DOC 문서를 첨부한 스피어 피싱 메일 북한 광명성 3호 발사 및 핵 실험을 주제로 한 악성코드 4.11 총선 이슈에 발견된 악성코드 런던 올림픽 개최를 이용한 악성코드 핵 안보 정상회담 PDF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유포되는 악성 HWP 파일 국내 주요 금융기관 피싱 사이트 다수 발견 페이스북을 통해 유포되는 보안 제품 무력화 악성코드 보안 제품의 업데이트를 방해하는 Host 파일 변경 악성코드 주의 보안 제품 동작을 방해하는 온라인 게임핵 변종 Mac OS를 대상으로 하는 보안 위협의 증가 윈도우, Mac OS를 동시에 감염시키는 악성코드 자바, MS 오피스…

안드로이드 모바일 허위 백신 유포

안드로이드(Android) 스마트폰의 사용율이 전 세계적으로 증감하에 따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보안 위협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당 모바일(Mobile)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들은 2011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작 목적 역시 금전 획득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사례들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들의 유포는 현재까지 대부분이 구글(Google)에서 운영하는 안드로이드 앱스토어(Android Appstore) 또는 방문자가 많은 유명 서드 파티 앱스토어(3rd Party Appstore)를 통해 유포되는 사례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는 허위 앱 스토어를 통해 직접 유포하거나 유명 앱들을 배포하는 웹 사이트로 위장하여 유포하는 방식 등으로 기존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는 악성코드들이 유포되는 방식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가 금일 기존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PC에 감염되었던 허위 백신들과 유사한 형태로 유포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허위 백신 형태의 악성코드는 최근 애플 맥(Mac) 운영체제 사용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5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4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5월 9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9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035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0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383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1 – 중요 Microsoft Visio Viewer 2010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9798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2 – 중요 TCP/IP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8833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3 – 중요 Windows Partition Manag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9053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4 – 긴급 Microsoft Office, Windows, .NET Framework 및 Silverlight에 대한 통합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