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트러스가드, 국제 CC인증 획득으로 글로벌시장 공략 박차

– 국제 CC인증 획득으로 국내외 네트워크 보안 시장 공략 박차 글로벌 통합보안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자사의 네트워크 통합보안 솔루션인 ‘안랩 트러스가드[AhnLab TrusGuard, 이하 트러스가드]’가 최근 IT보안인증사무국으로부터 국제 CC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국제공통평가기준인 CC[Common Criteria] 인증은 IT 솔루션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신력있는 국제기준[ISO 표준]으로, 트러스가드는 이번에 EAL 2[Evaluation Assurance Level 2] 등급으로 인증을 획득했다.   안랩은 이번 국제 CC인증 획득으로 증명된 네트워크 보안 기술력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네트워크 보안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트러스가드는 대규모 트래픽과 대용량 세션[PC와 PC 간 통신을 위한 연결 정보]을 고속으로 처리하는 고성능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이다. 높은 수준의 방화벽 성능을 제공하며, 외부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내부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VPN[가상사설망, Virtual Private Network]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안랩의 안티바이러스 엔진과…

한/글 프로그램 보안 패치 권고

– 문서 파일 실행 시 취약점으로 인해 악성코드 설치, 실행  – SW 보안 패치,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필수 정보보안 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적용하라고 11일 권고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문서를 실행했을 때 특정 악성코드가 설치, 실행되는 것이다. 안랩은 취약점을 발견한 7월 5일 한글과컴퓨터사에 관련 정보를 공유했고, 한글과컴퓨터사는 10일 보안 패치를 완료해 사용자에게 공지했다. 한컴 오피스 2007, 한/글 2007, 한/글 2005, 한/글 2004, 한/글 2002 SE 사용자는 해당 패치를 반드시 업데이트해야 안전하다. 이번 악성코드는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문서에 삽입되어 소형 커뮤니티 사이트에 업로드되었거나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HWP 파일은 물론 DOC, PPT, PDF, TXT, XLS, RAR, ZIP 등의 파일을 외부로…

어도비에서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보안 패치 배포

2월 18일 ASEC에서는 “어도비 리더 CVE-2013-0640 및 CVE-2013-0641 취약점 악용” 관련 정보를 공개하면서 해당 공격에는 2개의 제로 데이(0-Day, Zero Day) 취약점이 악용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한국 시각으로 2월 21일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배포한다는 것을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통해 공개하였다. 이번에 배포하는 보안 패치의 설치 대상이 되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대상의 Adobe Reader XI (11.0.01와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대상의 Adobe Reader X (10.1.5와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와 리눅스(Linux) Adobe Reader 9.5.3와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대상의 Adobe Acrobat XI (11.0.01와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대상의 Adobe Acrobat X (10.1.5와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와 맥킨토시(Macintosh) 대상의 Adobe Acrobat 9.5.3과 이전 버전 어도비에서 제공하는 보안 패치는 다음의 절차로 설치 할 수 있다. 1) 어도비…

어도비 리더 CVE-2013-0640 및 CVE-2013-0641 취약점 악용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13일 어도비 리더(Reader)와 아크로뱃(Acrobat)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40 및 CVE-2013-0641를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보안 권고문 “Security Advisory for Adobe Reader and Acrobat“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으로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아프가니스탄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 형태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공격이 진행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 (10.1.5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및 리눅스(Linux) Adobe Reader 9.5.3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Adobe Acrobat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Adobe…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6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온라인 뱅킹 트로이목마 Banki(1) 온라인 뱅킹 트로이목마 Banki(2) 패스워드를 노리는 악성코드 악성코드의 3단 콤보 공격 온라인 게임핵 변종 악성코드 특정 후보의 정책관련 한글문서 위장 악성코드 부킹닷컴을 사칭한 악성코드 과다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악성코드 상품권 번호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Xerox WorkCentre를 사칭한 악성 메일 Facebook을 사칭한 악성 e-mail 주의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린 Win-Android/Chest 악성코드 PUP 앱의 폭발적인 증가 3) 보안 이슈 Stuxnet 기술을 이용하는 MySQL 취약점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use-after-free 취약점 4) 2012년 보안 동향 분석 악성코드 통계 – 2012년 악성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