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 다수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9일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ASEC에서는 최근 다양한 형태의 전자 문서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들을 발견하였다. 전자 문서와 관련된 악성코드들이 발견되는 것이 이 번이 처음 발생한 사항이 아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Word), 한글 소프트웨어 그리고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파일인 PDF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 등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견된 것은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먼저 한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악성코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형태, 특이하게 내부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가 포함된 형태 그리고 한글 문서 자체가 특이한 OLE 포맷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발견되었다. 기존에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붙임1_국방기술정보 위원명단_[2].hwp (1,061,892 바이트)”로 유포되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3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유포된 사례들 다수를 공개하였다. 유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 대부분은 아래 3가지 형태의 취약점을 가장 많이 악용하여 백도어 형태의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였다. 1.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2.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3. EtcDocGroup.DFT에 존재하는 버퍼 오버플로우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 그러나 9월 10일과 11일 이틀 동안 그 동안 알려진 한글 워드프로세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한글 파일들 다수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한글 파일들은 총 4개로 안전여부.hwp (47,616 바이트), 운영체제 레포트 제목.hwp (31,744 바이트), 120604 전북도당 통합진보당 규약(6월 2주차).hwp (63,488 바이트)와 민주통합전라남도당 입당,정책 입당원서(제1호).hwp (102,912 바이트)이다. 해당 한글 파일들…
고도의 사회 공학 기법이 포함된 취약한 한글 파일들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6일 ASEC에서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알려진 코드 실행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을 악용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는 것을 9월 4일 공개하였다. 9월 4일 취약한 한글 파일에 대해 공개한 이 후인 9월 5일과 9월 6일 오전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과 파일들과 악성코드들이 다시 발견되었다. 9월 5일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최근 언론을 통해 이슈가 되고 있는 독도 관련 내용을 담고 있으며, 문서 역시 독도 일본땅`日,자신만만증거보니…황당.hwp (447,504 바이트)라는 파일명을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App.dll에 존재하는 문단 정보를 파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해당 취약점으로 인해 suchost.exe (295,424 바이트)을 다음의 경로에 생성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settingstempsuchost.exe 그리고 생성된 suchost.exe (295,424 바이트)는 다시 아래의 경로에 connection.dll (295,424 바이트)를 생성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application dataconnection.dll 윈도우 시스템에 존재하는 정상 파일인 svchost.exe를 실행하여 스레드로…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4일 ASEC에서는 그 동안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사례들을 다수 공개한 적이 있다. 2011년 10월 – 취약한 한글 파일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6월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6월 –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2012년 7월 –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2012년 7월 –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추가 발견 2012년 8월 – 다시 발견된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2012년 9월 3일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과 악성코드가 다시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을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북한전문가와 대북전략가“라는 제목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기존에 발견되었던 취약한 한글 파일들에서 자주 악용되었던 HncTextArt_hplg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은 아니다….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추가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25일 ASEC에서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사례들 다수를 언급하였다. 6월 15일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6월 26일 –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7월 5일 –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7월 24일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아니다. 해당 취약점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이며, 해당 취약점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악용되어 왔던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들 중 하나이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이미 보안 패치를 제공 중에 있다.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는 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