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26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3월 20일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2년 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2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PC에 존재하는 모든 문서 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 누군가 나를 지켜보고 있다? 웹캠으로 도촬하는 악성코드 가짜 KB국민은행 피싱 사이트 주의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로 전달되는 단축 URL 특정 기관을 목표로 발송되는 발신인 불명의 이메일 주의 시리아 반정부군을 감시하기 위한 악성코드 유포 변형된 MS12-004 취약점 악용 스크립트 발견 MS11-073 워드 취약점을 이용하는 타깃 공격 발생 어도비 플래시 취약점 이용한 문서 파일 발견 wshtcpip.dll 파일을 변경하는 온라인게임핵 발견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게임핵 악성코드 발견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윈도우 악성코드 3) 보안…
시리아 반정부군을 감시하기 위한 악성코드 유포 Posted By ASEC , 2012년 3월 5일 2월 17일 해외 언론인 CNN의 기사 “Computer spyware is newest weapon in Syrian conflict“를 통해 시리아 정부에서 반정부군의 동향을 수집하고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였다 내용이 공개되었다. 이 번에 알려진 해당 악성코드는 현재까지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특정인들을 대상으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전송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메일에 첨부된 해당 악성코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RARSfx로 압축되어 있으며, 파일 내부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svhost.exe(69,632 바이트)와 정상 이미지 파일인 20111221090.jpg(114,841 바이트)가 포함되어 있다. 해당 RARSfx로 압축된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 경로에 파일들을 생성하고 실행하게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SettingsTemp20111221090.jpg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SettingsTempsvhost.exe 그리고 감염된 시스템의 사용자가 악성코드 감염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다음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파일을 보여주게 된다. 임시 폴더(Temp)에 생성된 svhost.exe(69,632 바이트)는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베이직(Microsoft Visual Basic)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