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대북 관련 한글문서(HWP)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최근 대북 관련 악성 한글 문서 파일을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하였다. 동작 방식은 취약점이 아닌 문서 실행 시 노출되는 화면에 사용자 클릭을 유도하는 하이퍼 링크를 삽입하고, 이를 클릭 시 문서 내부에 포함된 실행 파일들이 동작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문서 내부에 실행 파일들이 존재하는 것은 정상 한글문서에서도 확인되는 특징으로 개체 삽입을 통해 가능한 정상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감염되면 작업스케줄러를 통해 121분마다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추가 외부 악성파일을 구글 드라이브(https://drive.google.com)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동작 과정에서 V3…

“「2021 평화∙통일 이야기 공모전」 참가 신청서” 제목의 한글문서 유포 (APT 추정)

ASEC분석팀은 특정 지자체의 문서를 위조한 한글 악성코드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 해당 문서는 아래 [그림 1]과 같이 평화∙통일을 주제로 하고 있다. 문서 실행 시 내부 악성 OLE 개체에 의해 악성코드가 특정 경로에 생성되며 사용자가 문서를 클릭할 경우 실행된다. 해당 악성 문서에 대한 정보는 다음 [그림2]와 같다. 악성 문서는 다음 [그림 3]과 같이 악성 OLE 개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문서가 실행되면 OLE 개체 내부의 PE 파일(.exe) 악성코드가 특정 경로에 생성된다. 악성코드를 생성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Temp\HncApp.exe 생성된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해 제작자는 문서…

한/글 프로그램 보안 패치 권고

– 문서 파일 실행 시 취약점으로 인해 악성코드 설치, 실행  – SW 보안 패치, 백신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필수 정보보안 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적용하라고 11일 권고했다. 이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문서를 실행했을 때 특정 악성코드가 설치, 실행되는 것이다. 안랩은 취약점을 발견한 7월 5일 한글과컴퓨터사에 관련 정보를 공유했고, 한글과컴퓨터사는 10일 보안 패치를 완료해 사용자에게 공지했다. 한컴 오피스 2007, 한/글 2007, 한/글 2005, 한/글 2004, 한/글 2002 SE 사용자는 해당 패치를 반드시 업데이트해야 안전하다. 이번 악성코드는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문서에 삽입되어 소형 커뮤니티 사이트에 업로드되었거나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HWP 파일은 물론 DOC, PPT, PDF, TXT, XLS, RAR, ZIP 등의 파일을 외부로…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4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10월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문서 파일 MS 워드, PDF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다수 발견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의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 발견 이스라엘 정부 기관 대상의 타깃 공격 발생 국내 PC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2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8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2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8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보안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변조된 정상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핵 유포 ActiveX라는 이름의 악성코드 게임부스터 패스트핑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국내 업체를 대상으로 유포된 악성 스팸 메일 이메일을 이용한 어도비 CVE-2009-0927 취약점 악성코드 유포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MS12-060(CVE-2012-1856) 취약점을 악용한 타깃 공격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의 CVE-2012-1535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런던 올림픽 악성 스팸메일 Xanga 초대장을 위장한 악성 스팸메일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지속 발견 사우디아라비아 정유 업체를 공격한 Disttrack 악성코드 악성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