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E-2021-40444 취약점을 이용한 대북 관련 악성 문서 Posted By ASEC , 2021년 11월 17일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9월에 발표한 신규 취약점인 CVE-2021-40444를 포함한 문서 파일들이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주목할 점은 확인된 문서들이 대북관련이라는 점이다. 대북과 관련한 악성 문서들은 과거부터 지속 새로운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최신 취약점을 사용한 것이 확인된 만큼 관련 공격자들이 발빠르게 새로운 기법들을 적용하여 유포 시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취약점 CVE-2021-40444는 MSHTML 관련 원격 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으로 MSHTML은 Internet Explorer 및 Office 문서 작업 프로그램 내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이다. 해당 취약점은 Internet Explorer 및 Office 문서 작업…
엑셀 매크로 코드에서 확인된 Anti-VM 기능 (very hidden) Posted By ASEC , 2020년 3월 27일 ASEC분석팀은 3월 25일 악성 매크로 코드를 ‘좀 더’ 숨긴 엑셀파일에서 Anti-VM 기능까지 추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엑셀파일을 실행 시, 사용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왼쪽 하단에 ‘Sheet1’ 이름의 시트만 확인이 가능하다. 실제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매크로 코드는 ‘Sheet1’이 아닌 숨겨진 시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매크로 시트를 구성하는 바이너리를 보면 ’01’ (Excel 4.0 macro sheet)가 ’02’ (very hidden)로 값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02를 00 으로 수정 시 숨겨져 있는 악성 Sheet를 확인 할 수 있다. very hidden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2012년 7대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Posted By ASEC , 2012년 12월 28일 -APT 공격 기법 진화, 대상 확대..문서 파일 악용 지능화 -정치 이슈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해킹 등 기승 -모바일 악성코드, 국내 금융사 이용 피싱 사이트 급증 글로벌 정보보안 기업인 안랩[구 안철수연구소, 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28일 올 한 해 동안의 보안 위협의 주요 흐름을 분석해 ‘2012년7대 보안 위협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 한 해 주요 이슈는 ▲APT 기승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악용 지속 증가 ▲정치적 이슈 두드러진 사회공학 공격 기법 ▲모바일 악성코드 급증 ▲악성코드의 고도화 ▲핵티비즘과 기업 정보 탈취 목적 해킹 빈발 ▲국내 피싱 웹사이트 급증 등이었다. 1. APT 기승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타깃 공격]는 전년보다 공격 기법이 진화했으며 공격 대상 역시 광범위해졌다. APT 공격은 그동안 어도비PDF,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워드 등 문서 파일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해 왔다. 취약점을 악용해 취약한…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0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6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6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0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6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코드, 당신의 계좌를 노린다 이메일로 시도되는 APT 공격 주의 문서 파일을 이용한 끊임없는 악성코드 유포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1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2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안랩 사칭한 광고 스팸 메일 주의 정부 기관에서 발송된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FedEx Post Office 메일로 위장한 악성 스팸 메일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CVE-2012-1889) 악용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zsone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종 발견 스마트폰 사진을 변조하는 악성코드 스마트폰 앱 이용할 땐 항상 주의하세요 3) 보안 이슈…
사용자 PC의 문서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2월 14일 사용자 PC의 문서파일을 탈취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 Fedex 관련 메일로 위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악성코드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고, 감염되었을 경우 사용자 PC에 존재하는 모든 MS워드 파일(doc, docx)과 엑셀파일(xls, xlsx)을 전송하는 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