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mo 모바일 뱅킹 정보 탈취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12년 12월 17일 구글(Google)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정보를 탈취하는 Citmo(Carberp-in-the-Mobile)가 발견되었음을 러시아 보안 업체인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 “Carberp-in-the-Mobile” 블로그를 통해 공개하였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뱅킹 정보 탈취 목적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는 올해 몇 차례가 발견 된 사례가 있다. 2012년 6월 – Zitmo 변형으로 알려진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2012년 8월 – SMS를 유출하는 ZitMo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형 발견 이 번에 발견된 Citmo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러시아로 제작된 모바일 뱅킹을 위한 특정 은행에서 제작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앱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안드로이드 앱을 설치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SMS 읽기와 보내기 등의 사용자 권한을 요구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Citmo는 모바일 뱅킹 과정에서 감염된 스마트폰 사용자가 은행으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뱅킹을 위한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인증 번호를 유출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해 모바일 뱅킹 관련 번호로부터 전송된 SMS 수신을 차단하게…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4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2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10월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문서 파일 MS 워드, PDF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다수 발견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의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 발견 이스라엘 정부 기관 대상의 타깃 공격 발생 국내 PC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3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11월 7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9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3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9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트래픽을 유발하는 악성코드 P2P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무협지 위장 악성코드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취약점을 이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윈도우 8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당첨! 자동차를 받아가세요 도움말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 UPS, Amazon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악성코드 치료 후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2012 미국 대선을 노린 광고성 애플리케이션 주의 일본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Loozfon 모바일 악성코드 Anime character named Anaru(Android Malware)…
윈도우 8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9월 12일 몇 년전부터 금전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허위 백신들들은 사회적인 이슈들 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포되었다. 다양한 기법으로 유포되는 허위 백신 형태의 악성코들은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 악성코드 감염이라는 허위 정보를 시스템 사용자들에게 보여줌으로서 금전적인 결제를 유도하여 직접적인 금전 획득의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었다. 특히 다양한 사회적인 이슈들과 IT 트렌드를 반영하여 PC 또는 모바일(Mobile) 형태까지 다양한 형태로 유포 되는 사례가 많았다. 2011년 1월 – AVG 백신으로 위장해 유포된 허위 백신 2011년 10월 – SNS로 전파되는 맥 OS X 대상의 허위 백신 2011년 10월 – 클라우드 백신으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2011년 12월 – 2012년 버전으로 위장한 허위 클라우드 백신 2012년 5월 – 안드로이드 모바일 허위 백신 유포 최근 윈도우(Windows) 운영체제를 개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10월 26일 전 세계적으로 차기 윈도우 운영체제인 윈도우 8을 출시 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가 있다. 이러한…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0 발간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6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6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0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6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코드, 당신의 계좌를 노린다 이메일로 시도되는 APT 공격 주의 문서 파일을 이용한 끊임없는 악성코드 유포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1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2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안랩 사칭한 광고 스팸 메일 주의 정부 기관에서 발송된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FedEx Post Office 메일로 위장한 악성 스팸 메일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CVE-2012-1889) 악용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zsone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종 발견 스마트폰 사진을 변조하는 악성코드 스마트폰 앱 이용할 땐 항상 주의하세요 3) 보안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