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문서 이용한 APT 공격 시도 (External 연결 + VBA 매크로) Posted By ASEC , 2022년 2월 3일 ASEC 분석팀은 최근 방송사 기자를 대상으로 APT 공격 시도를 위한 악성 워드 문서 파일을 유포 중인 정황을 확인하였다. 메일 제목 및 본문은 아래와 같이 되어있으며, 첨부파일인 압축 파일 내부에는 워드 문서가 포함되어 있다. 파일명 : 사내 금융업무 상세내역.docx 워드문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사용자에게 보여지고, 백그라운드에서는 External URL을 이용하여 워드 매크로(dotm)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다. URL : hxxp://ms-work.com-info.store/dms/0203.dotm 다운로드된 “0203.dotm” 이름의 워드 매크로 파일에는 아래와 같은 매크로가 작성되어 있으며, 기존 워드 파일의 사용자 지정 속성에 있는 값들을 이용하여 같은 경로…
Excel 4.0 매크로를 통해 유포되는 Dridex Posted By ASEC , 2021년 8월 25일 최근 ASEC 분석팀은 엑셀 문서를 통해 Dridex 가 유포되는 방식이 빠른 주기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년부터 Dridex 유포 방식에 대해 ASEC 블로그를 통해 소개 해왔으며, 지난달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Dridex 를 유포하는 엑셀 문서를 마지막으로 소개하였다. 현재 유포 중인 엑셀 문서에서는 이전과 달리 VBA 매크로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Excel 4.0 매크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백신 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며 변화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최근 유포되고 있는 엑셀 문서의 실행 화면은 아래와 같다. 다양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매크로 사용…
더욱 정교해진 Excel 문서 (Dridex, Cobalt Strike 유포) Posted By ASEC , 2021년 7월 13일 엑셀 문서를 통해 Dridex 가 유포되는 방식은 작년부터 꾸준히 확인되었으며 ASEC 블로그에도 게시되었다. 최근 ASEC 분석팀은 기존과 비슷한 방식으로 Dridex 와 함께 Cobalt Strike 툴이 함께 유포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최근 유포되는 엑셀 문서에는 기존과 달리 작업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 이후 악성 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동작방식의 변화는 샌드박스 환경에서의 탐지 및 행위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시도로 추정된다. 또한, Dridex, Cobalt Strike 악성코드는 과거 도플페이머(DopplePaymer) 랜섬웨어, CLOP 랜섬웨어 감염으로 이어진 피해 사례가 있음으로 기업 사용자 환경의 경우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매크로 시트를 이용한 악성 엑셀 국내 유포 중 Posted By ASEC , 2020년 11월 30일 ASEC 분석팀은 매크로 시트(Excel 4.0 macro sheet)를 이용한 악성 엑셀 문서가 피싱 메일을 통해 국내에 다수 유포 중임을 확인하였다. 매크로 시트를 이용한 방식은 악성코드 유포자가 자주 사용하는 방식으로, 지난 10월 Qakbot 유포에도 사용되었다. 피싱 메일은 아래와 같으며, 한국어가 사용된 점으로 보아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해당 메일은 실제 발송된 정상 메일을 활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부분으로 인해 정상 메일로 인지할 수 있어, 큰 주의가 필요하다. 메일에는 압축 파일(ZIP)이 첨부되어 있으며, 압축 파일 내부에 악성…
암호 걸린 첨부 파일로 유포 중인 Emotet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0년 10월 20일 ASEC 분석팀은 메일에 암호 걸린 압축 파일로 첨부되어 이모텟(Emotet) 악성코드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메일 본문에 압축 파일을 풀기 위한 암호가 적혀있어서, 메일을 수신한 사람만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 파일 내의 파일을 안티바이러스 제품에서 탐지하고 있더라도, 압축 파일 자체에 암호가 걸려있기 때문에 암호 해제 전까지는 자동으로 탐지가 어렵다. 메일은 10월 17일 발송되었고, 다음과 같이 기업 관계자를 위장하고 있다. 첨부된 파일은 압축 파일로서, 압축 해제 시 ‘MYTNXTOJ3 202010月17.doc’ 이름의 워드 파일이 존재한다. ‘MYTNXTOJ3 202010月17.doc’ 워드 문서 파일의 내용은 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