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인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ASEC에서는 2009년부터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이라는 웹을 기반으로 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wser)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들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악용하도록 제작된 툴킷의 위험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리고 웹 익스플로잇 투킷의 한 종류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킷을 이용하여 실제 사회적 주요 이슈나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같은 일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들을 포함한 스팸 메일(Spam Mail)의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한 사례들이 다수 존재한다. 2012년 6월 – 스팸 메일과 결합된 웹 익스플로잇 툴킷 2012년 7월 –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2012년 8월 –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특히 올해 2012년 4분기에는 미국과 한국에는 대통령 선거라는 정치적인 중요한 이슈가 존재하다. 이러한 중요한 이슈를 악용하여 스팸 메일에 존재하는 악의적인 웹 사이트 링크로 유도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 사례에는 아래…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1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7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1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7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Banki 트로이목마의 공습 구글 코드를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외 은행 피싱 메일 아래아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파일 추가 발견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BHO에 등록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WinSocketA.dll 파일을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핵 Cross-Platform 악성코드 위구르족을 타깃으로 한 맥 악성코드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APT 공격과 관련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발견 스마트폰에도 설치되는 애드웨어 3) 보안 이슈 DNS changer 감염으로 인한 인터넷 접속 장애 주의 BIND 9 취약점 발견 및 업데이트 권고 어느 기업의 데이터 유출 후, 고객에게 보내진 ‘보안 패치’ 메일의 비밀 4)…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최근 들어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의 일종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킷이 스팸 메일(Spam Mail)과 결합되어 유포되는 현상들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최근 발견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과 스팸 메일이 결합되어 유포된 사례들은 다음을 들 수가 있다. 2012년 6월 – 스팸 메일과 결합된 웹 익스플로잇 툴킷 2012년 7월 –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금일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 킷과 결합된 스팸 메일이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은 인터넷을 이용한 현금 결제 서비스인 페이팔(PayPal)의 결제 결과 안내 메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페이팔 스팸 메일과 결합된 형태로 유포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감염된 PC에서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페이팔 결제 안내 메일로 위장해 유포된 스팸 메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