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6일 2012년 1월 26일 해외를 중심으로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수집하기 위한 용도의 피싱(Phishing) 시도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트위터에서 피싱 시도는 처음으로 있는 일이 아니며 2010년 2월 24일 트위터의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sage)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이용해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사례가 있다. 금일 발견된 트위터에서의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축 UR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와 유사한 웹 사이트로 연결된다. 그러나 실제 해당 웹 사이트는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하여 트위터 사용자 계정와 로그인 암호를 수집하기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피싱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계정과 로그인…
로그인, 로그오프 무한 반복 증상! Posted By ASEC , 2010년 1월 18일 악성코드 감염 혹은 치료 후 윈도우 로그인 시 암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하거나 암호 입력 없이 로그인 중 계속해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고 로그오프이 되는 증상이 있는 경우 해당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악성코드 중 아래의 윈도우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는 악성코드가 많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아래값과 같습니다. 하지만 악성코드로 인해 아래 값이 아닌 엉뚱한 값으로 변경이 되는 경우 윈도우가 정상적인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 “Userinit”=”C:\Windows\system32\userinit.exe,” 이러한 증상은 해당 레지스트에 등록된 악성코드의 파일을 삭제 후, 해당 레지스트리 값을 정상적으로 고쳐주지 않고 재부팅을 하게 되는 경우 발생합니다. 최근 이러한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안티바이러스(백신) 제품을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악성코드 치료 도중 강제로 재부팅을 하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아래 조치방법대로 해보시기 바랍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