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스트리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를 사칭한 랜섬웨어 발견

랜섬웨어(Ransomware)는 동유럽과 러시아 등지에서 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문서나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방해하고, 그 댓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형태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ASEC에서 파악한 랜섬웨어들은 악성코드 제작자에 의해 직접 제작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다른 일반적인 악성코드와 동일하게 랜섬웨어 생성기에 의해 제작되는 사례도 존재 한다 그리고 국지적인 한계를 벗어나 감염된 시스템의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언어로 표기하는 형태도 있어, 한국어 윈도우에서는 한국어로 표기하는 랜섬웨어도 발견된 사례가 있다. 11월 2일, 해외에서 유명 해커 그룹인 어나니머스(Anonymous)를 사칭한 랜섬웨어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랜섬웨어는 감염된 시스템에서 스위스 보안 그룹 Abuse.ch에서 공개한 아래 이미지처럼 어나니머스의 로고와 메시지를 보여주고, 정상정인 시스템 사용을 위해 금전적인 댓가를 지불할 것을 요구 하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랜섬웨어가 시스템에서 실행 되면 우선 구글로 접속을 시도하여 감염된 시스템이 존재하는 지리적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MS11-073 워드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 발생

2012년 2월 10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블로그 “New Targeted Attack Using Office Exploit Found In The Wild“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9월 공개한 보안 패치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3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87634)”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을 발견되었음 공개하였다. 해당 MS11-073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은 이메일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ZIP으로 압축된 첨부 파일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취약한 워드(Word) 파일과 fputlsat.dll(126,976 바이트)이 포함되어 있었다. 취약한 워드 파일을 fputlsat.dll(126,976 바이트)와 동일한 폴더에서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워드 파일이 실행된다.  해당 취약한 파일이 실행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fputlsat.dll(126,976 바이트)은 삭제되고 정상 Thumbs.db 파일이 생성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해당 취약한 워드 파일에 의해 윈도우 임시 폴더(Temp)에 ~MS2A.tmp(76,800 바이트)이 생성된다. 생성된  ~MS2A.tmp(76,800 바이트) 파일은 다시 윈도우 폴더(C:WINDOWS)와 윈도우 시스템 폴더(C:WINDOWSsystem32)에 iede32.ocx(13,824 바이트)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윈도우…

국내 연예인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유포

최근 국내 유명 연예인인 A양을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사생활 동영상이 유포되어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큰 이슈를 악용하여 2011년 12월 8일 저녁 국내에서도 많은 사용자가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 등을 통해 해당 연예인의 사생활 동영상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 되었다. 해당 트위터 계정은 비교적 최근에 생성한 것으로 보여지며, 해당 계정의 사용자에 대해 자세한 사항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내용 없이 위 이미지와 같이 유명 연예인의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ZIP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만 유도하고 있다. 해당 URL을 복사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다운로드를 시도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삭제] 아나운서 2분50초짜리.zip.zip(6.67MB)”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다운로드 된 ZIP 압축 파일의 압축을 풀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수의 JPG 이미지 파일과 SFX로 압축된 EXE 파일이 존재한다. 그리고 텍스트 파일에서는 압축 파일에 같이…

Adobe Acrobat CVE-2011-2462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

한국 시각으로 2011년 12월 7일 새벽 Adobe에서는 보안 권고문 “APSA11-04 Security Advisory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공개하며 Adobe Acrobat에서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취약점인 CVE-2011-2462가 발견되었음을 알렸다. Adobe에서는  이번에 발견된 제로 데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Adobe Acrobat 버전들은 다음과 같다고 밝히고 있다. Adobe Reader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Reader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Macintosh and UNIX Adobe Acrobat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Acrobat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그리고 보안 권고문을 통해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겟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으며, 해당 취약점을 보고 한 업체로는 미국 군수 방위 업체인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으로 밝히고 있다. 이 번 타겟 공격과 관련하여 시만텍(Symantec)에서는…

화학 업체를 대상으로 한 니트로 보안 위협

해외 시각으로 2011년 10월 31일 미국 보안 업체인 시만텍(Symantec)에서는 니트로(Nitro)로 명명된 보안 위협을 공개하였으며, 공개된 니트로 보안 위협에 대해서는 해외 언론들을 통해서도 알려져 있다. 시만텍에서 이번에 공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한 공격이었으나, 최초인 4월 말경에는 인권 관련단체인 NGO를 대상으로 시작 된 것으로 밝히고 있다.  화학 업체들을 대상으로한 니트로 보안 위협은 최초 2011년 7월에서 시작되어 해당 보안 위협이 탐지된 9월까지 진행 되었으며, 원격 제어를 위한 C&C(Command and Control) 서버의 경우에는 4월경에 구축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공격 대상이 된 기업은 화학 관련 업체 29개와 군수 업체를 포함한 다른 업종의 기업 19개로 총 48개 기업이 이번 니트로 보안 위협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시만텍에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해당 니트로 보안 위협에 의해 감염된 시스템들은 지리적으로 미국과 방글라데시(Bangladesh)가 가장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