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을 통해 유포 중인 AgentTesla

ASEC 분석팀은 최근 AgentTesla 악성코드가 새로운 방식으로 유포 중인 정황을 포착하였다. ASEC 블로그에도 여러 번 소개해왔던 AgentTesla 의 기존 유포 방식은 파워포인트(*.ppt) 문서 내 악성 VBA 매크로를 이용하였다면, 새로운 유포 방식은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을 이용하여 powershell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악성 CHM 파일은 운송 회사인 DHL 을 사칭한 피싱 메일에 첨부되어 압축 파일 형태로 유포되고 있다. DHL 외에도 다양한 주제로 피싱 메일을 유포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피싱 메일에 첨부된 압축 파일을 압축 해제하면 악성 CHM 파일이 존재하며, 해당…

코로나 확진 안내문으로 사칭한 악성 도움말 파일 국내 유포

ASEC 분석팀은 2주 전,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형식의 악성코드에 대해 소개하였다. 금일 추가로 확인된 악성 chm 파일은 코로나 확진 안내문을 사칭한 형태로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시기를 노려 관련 내용을 포함하여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유포되고 있는 파일명은 아래와 같으며, 악성 chm 파일을 실행 시 추가 악성 파일을 실행한다. 이때 사용자 PC 화면에는 코로나 확진 안내문 창이 생성되어 악성 파일이 실행된 것을 인지하기 어렵도록 한다. 유포 파일명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50).chm 또한, 안내문에 포함된…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로 유포되는 APT 공격

ASEC 분석팀은 최근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형식의 악성코드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hm 파일은 컴파일 된 HTML Help 파일로 microsoft® html help executable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된다. 최근 확인된 chm 파일은 실행 시 추가 악성 파일을 다운로드하며 이 과정에서 정상적인 내용을 담은 창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악성 파일 임을 인지하기 어려운 특징이 존재한다. 악성 코드는 아래와 같이 압축 파일 형태로 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다. 첨부된 압축 파일 내부에는 워드 문서와 rar 파일이 포함되어 있다. RAR 파일 내부에는 악성 파일인 Guide.chm이 존재한다….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4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4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10월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문서 파일 MS 워드, PDF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다수 발견 한글 소프트웨어의 제로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미국 대선 뉴스로 위장한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방 관련 내용을 담은 취약한 한글 파일 연봉 계약서로 위장한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한반도 정황 관련 내용의 취약한 한글 파일 발견 대만 기상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 발견 이스라엘 정부 기관 대상의 타깃 공격 발생 국내 PC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10월 17일 ASEC에서는 윈도우 도움말(HLP) 파일을 이용해 내부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악성코드가 국내에 유포 된 것을 발견하였다. 이번에 윈도우 도움말 파일을 이용하여 유포된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유포되었다. 유포된 이메일은 “쟁점 Q&A 통일외교“와 “전략보고서“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는 2가지 형태이며 공통적으로 메일 본문에는 아무런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메일을 보낸 송신인은 국내 유명 포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메일 서비스를 이용해 동일한 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 유포된 이메일에는 총 2가지 형태의 “쟁점Q&A 통일외교.zip (62,247 바이트)”와 “전략보고서.zip (61,742 바이트)” 의 첨부 파일이 존재하며, 압축 파일의 압축을 풀게 되면 “쟁점Q&A 통일외교.hlp (129,883 바이트)”와 “전략보고서.hlp (129,375 바이트)” 이 생성된다. 생성된 해당 HLP 파일들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이 보여지게 된다. 그리고 해당 HLP 파일들에 의해 백그라운드로 아래의 경로에 동일한 “winnetsvr.exe (114,688 바이트)” 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하게 된다. C:WINDOWSTempwinnetsvr.exe  생성된 winnetsvr.exe 파일은 다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