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6일 2012년 1월 26일 해외를 중심으로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수집하기 위한 용도의 피싱(Phishing) 시도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트위터에서 피싱 시도는 처음으로 있는 일이 아니며 2010년 2월 24일 트위터의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sage)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이용해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사례가 있다. 금일 발견된 트위터에서의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축 UR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와 유사한 웹 사이트로 연결된다. 그러나 실제 해당 웹 사이트는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하여 트위터 사용자 계정와 로그인 암호를 수집하기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피싱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계정과 로그인…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 시도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20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유명 인사들의 사망 등을 악용하는 사회 공학(Social Engineering) 기법으로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사례는 과거에도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례들로는 2011년에만 5월 테러 조직인 알카에다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Osama Bin Laden) 사망 소식과 10월 애플(Apple) CEO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사망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들이 있었다. 2011년 12월 19일 북한의 방송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 세계에 알려진지 만 하루가 지난 금일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악용한 애드웨어 유포가 사례가 발견되었다. 해당 애드웨어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유명 동영상 관련 웹 사이트 유튜브(You Tube)를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과 관련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본문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클릭하도록 유도 하고 있다. 해당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웹 사이트와 같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위장하고 있는 웹 사이트로 연결하게 된다. 해당 웹 사이트에서는 다시 정상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