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더

디스코드를 통해 유포되는 마이너 악성코드

ASEC 분석팀에서는 국내에서 유포 중인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하던 중 디스코드 메신저를 통해 마이너 악성코드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디스코드는 과거부터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 유포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ASEC 블로그에서도 다룬바 있다. 공격자는 아래와 같은 “무료 로벅스생성기” 디스코드 채팅방에서 로블록스라는 게임의 화폐인 로벅스를 무료로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소개하며 다운로드를 유도한다. 만약 위 그림의 아래에 존재하는 “로벅스생성기-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압축을 해제하면 “robux free tool.exe” 라는 이름을 가진 실행 파일을 확인할 수…

스팸 메일로 유포되는 닷넷 다운로더 악성코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최근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들 다수가 인포스틸러(정보 유출형 악성코드) 및 RAT(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들이다. 이러한 인포스틸러 및 RAT의 상당수는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대부분 사용자가 첨부 파일을 실행시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공격자는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할 때 백신의 파일 진단을 우회하기 위한 목적으로 악성코드의 외형을 패커로 패킹한다. 즉 실제 악성코드는 이미 백신에 의해 탐지된다고 하더라도 패킹될 경우에는 매번 다른 형태의 외형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파일 진단을 우회할 수 있다. 이렇게 파일 진단을…

나 몰래 악성코드가 설치된다고?! BeamWinHTTP 악성코드!

ASEC 분석팀에서 매주 게시하고 있는 주간 악성코드 통계에서도 확인되듯, 최근들어 다운로더형 악성코드인 BeamWinHTTP가 몇 주 사이에 눈에 띄게 많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BeamWinHTTP 악성코드는 Top 3으로 분류될 정도로 많은 유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행할 때마다 각기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고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BeamWinHTTP 악성코드는 PUP 설치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어지는데, 사용자들은 웹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다 아래와 같은 PUP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게 된다.※ PUP 프로그램 : Potentially Unwanted Program의 약자로 사용자의 동의를…

[주의] 오토캐드(AutoCAD) 설계도면 파일(dwg)로 위장하여 악성코드 유포

최근 들어 오토캐드(AutoCAD) 도면 파일(dwg)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 해당 파일명은 imageXXX_M-003 장비일람표.dwg.exe 형식을 가지며 주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dwg 파일로 위장한 exe 실행파일 위와 같이 유포된 파일은 VB(VisualBasic) 아이콘을 사용하며 윈도우 폴더 기본 옵션인 확장명 숨기기 기능을 해제 할 경우 다음과 같은 dwg 파일명 뒤에 .exe 확장자가 추가적으로 붙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해당 악성 파일은 Visual Basic 언어로 만들어진 exe 실행 파일이다. 주로 스팸 메일 등으로 유포되는 국내외 Visual Basic 악성코드는 일반적으로 상용 빌더(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