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개인정보 판매를 미끼로한 악성코드 유포 정황 확인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개인정보 판매를 미끼로 하는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확인했다. 이와 같은 공격 방법은 사회공학적 해킹에 속한다. ASEC에서 최근 확인된 사회공학적 해킹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소개한다.   [그림 1]은 공격자가 유포지로 사용한 홈페이지 내용이다. 다수의 파일들이 존재한다. 대부분 개인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며, 파일 내용은 ‘리딩’, ‘비상장’, ‘단타’, ‘중장기’ 등 투자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공격자는 악성코드 유포지에 8500건이 넘는 다수의 개인정보를 파일로 갖고 있었다. 이름과 전화번호 외에도 개인의 투자금액과 신용 등을 기록한 파일도…

나의 전화번호는 어떻게 유출될까?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이다. 개인정보보호법에 정의된 개인정보란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로 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뜻한다. 전화번호는 대표적인 개인정보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개인정보인 전화번호를 수집하는 PUP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한다. [그림 1]은 “OOO 중고나라 전화번호 추출 프로그램” 의 파일명을 갖는 PUP 프로그램이다. 중고나라는 OOO의 카페로 회원수 1900만명을 보유한 카페이다. 해당 카페의 회원들이 사용하지 않는 중고물품을 등록하여 판매하는 사이트이다….

안랩, 스마트폰 소액결제 악성코드 변종 급증 경고

– 작년 4분기 14종에서 올해 1분기 225종으로 16배 급증  – 커피 등 무료 쿠폰 가장한 SMS로 악성코드 설치 유도  – 소액결제 인증 SMS 탈취해 사용자 몰래 결제 스마트폰 소액결제를 노린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체스트[chest]의 변종이 급증하고 그로 인한 피해도 증가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글로벌 보안 기업 안랩[구 안철수 연구소, 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은 지난해 10월부터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체스트[chest]’의 변종이 올해 들어 급증했다고 밝혔다. 작년 10월~12월 동안 14종이 발견됐으나 올해 들어서는 1월부터 3월 7일 현재까지 225종이 발견돼 16배나 늘어난 수치다.   체스트 변종의 배포 방식은 종전과 동일하지만, 소스 코드가 일부 추가/변경된 것이 특징이다. 커피, 외식, 영화 등 다양한 유명 브랜드를 사칭한 무료 쿠폰 안내와 URL을 문자로 보내 사용자를 현혹한다. 사용자가 무심코 URL을 클릭해 해당 페이지에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설치하면 본인도…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3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9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3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9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자바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 트래픽을 유발하는 악성코드 P2P 사이트를 통해 유포되는 무협지 위장 악성코드 다양한 전자 문서들의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취약점을 이용하지 않는 한글 파일 악성코드 윈도우 8로 위장한 허위 백신 발견 당첨! 자동차를 받아가세요 도움말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첨부된 메일 UPS, Amazon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악성코드 치료 후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2012 미국 대선을 노린 광고성 애플리케이션 주의 일본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Loozfon 모바일 악성코드 Anime character named Anaru(Android Malware)…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0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6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0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6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악성코드, 당신의 계좌를 노린다 이메일로 시도되는 APT 공격 주의 문서 파일을 이용한 끊임없는 악성코드 유포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1 아래아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 2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안랩 사칭한 광고 스팸 메일 주의 정부 기관에서 발송된 메일로 위장한 스팸 메일 FedEx Post Office 메일로 위장한 악성 스팸 메일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CVE-2012-1889) 악용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zsone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변종 발견 스마트폰 사진을 변조하는 악성코드 스마트폰 앱 이용할 땐 항상 주의하세요 3) 보안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