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425 ~ 20220501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4월 25일 월요일부터 5월 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0.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8.8%, 랜섬웨어 7.9%, 다운로더 2.5% 코인마이너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이번주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 가 38.6%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문서 편집 및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백도어 (*.chm)

ASEC 분석팀은 악성 CHM 파일을 통해 국내 다수 사용자가 이용 중인 문서 편집 및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백도어가 국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최근 다양한 형태로 유포 중인 악성 CHM 파일은 지난 3월에도 ASEC 블로그를 통해 두 차례 소개해왔다. 이번에 소개할 악성 CHM 파일은 이전과 다른 과정을 거쳐 추가 악성 파일들을 실행한다. 현재 유포 중인 CHM 파일명 중 일부는 아래와 같으며, 국가 기관 관리자 및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유포되는 것으로 보인다. 유포 파일명국가융합망 예버서버 점검.chm***** 전자출결-웹페이지 교수자-메뉴얼 Ver1.0.chm붙임1. 전임교원…

북한 4.25 열병식 관련 내용의 악성 워드 문서 유포

ASEC 분석팀은 금일(04/29) 북한 열병식 관련 내용의 악성 워드 문서 유포 정황을 확인하였다. 유포자는 침해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내 웹 서버에 악성 워드 문서를 업로드하였다. 웹 서버에는 악성 워드 문서 뿐만 아니라 공격자가 OLE 개체 첨부 형태나 EPS 취약점 방식의 악성 한글 문서 유포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정상 한글 문서 2건도 함께 업로드되어 있었다. – [분석자료] 4.25 열병식을 통해 본 북한의 핵무력 사용 입장과 군부 엘리트 변동의 함의.docm (악성 : data.zip 내부)– “하종대 채널 A 앵커 윤석열 캠프에 합류”.hwp (정상)– attach.hwp…

외교/안보 관련 내용의 워드문서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대북 관련 파일명으로 악성 워드 문서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워드 문서에는 악성 VBA 매크로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대북 관련 본문 내용 악성 워드의 지속 유포 정황 확인>에서 소개한 문서 파일과 동일한 유형으로 확인된다. 최근 유포가 확인된 워드 문서의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220426-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향(정**박사).doc (4/26) 북한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향.doc (4/26) 중국의 외교정책과 우리의 대응방향.doc (4/22) 보도자료-원코리아국제포럼 2022 -20220422.docm (4/23) [분석자료] 4.25 열병식을 통해 본 북한의 핵무력 사용 입장과 군부 엘리트 변동의 함의.docm (4/26) 확인된 매크로 코드에는…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418 ~ 20220424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4월 18일 월요일부터 4월 24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0.5%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7.8%, 다운로더 7.4%, 뱅킹 악성코드 1.8%, 랜섬웨어 2.5% 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이번주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 가 2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