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평화∙통일 이야기 공모전」 참가 신청서” 제목의 한글문서 유포 (APT 추정) Posted on 2020년 12월 8일 ASEC분석팀은 특정 지자체의 문서를 위조한 한글 악성코드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했다. 해당 문서는 아래 [그림 1]과 같이 평화∙통일을 주제로 하고 있다. 문서 실행 시 내부 악성 OLE 개체에 의해 악성코드가 특정 경로에 생성되며 사용자가 문서를 클릭할 경우 실행된다. 해당 악성 문서에 대한 정보는 다음 [그림2]와 같다. 악성 문서는 다음 [그림 3]과 같이 악성 OLE 개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문서가 실행되면 OLE 개체 내부의 PE 파일(.exe) 악성코드가 특정 경로에 생성된다. 악성코드를 생성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Temp\HncApp.exe 생성된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해 제작자는 문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01130 ~ 20201206 ) Posted on 2020년 12월 8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를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0년 11월 30일 월요일부터 2020년 12월 6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8.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8.9%, Coin Miner가 14.7%를 차지하였다. 다운로더와 랜섬웨어는 3.2%, 뱅킹 악성코드는 1.1%로 그 뒤를 따랐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24.2%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은 수집한 정보 유출…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PHP 웹쉘 악성코드 Posted on 2020년 12월 8일 웹쉘(WebShell)이란 웹 서버에 업로드 되어 파일 탐색이나 시스템 쉘 명령 등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파일이다. 공격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서버 시스템의 파일을 탐색하고 쉘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악의적인 웹쉘 파일이 서버에 업로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업로드 파일 확장자를 제한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하지만 공격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를 우회할 수 있다.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Server-Side Script)의 확장자 필터링을 우회하는 파일 업로드 GIF, PNG, JPEG 이미지 등 업로드 가능한 확장자 파일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파일 업로드 본 글은 이…
유튜브를 통해 유포 중인 RedLine 인포스틸러 Posted on 2020년 12월 7일 ASEC 분석팀은 최근 RedLine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크랙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로 위장한 유튜브 사이트를 통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RedLine은 정보 유출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및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 정보나 스크린샷, 코인 지갑 주소 등 사용자 정보를 C&C 서버에 유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RedLine 악성코드가 최초로 확인된 것은 2020년 3월경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이슈를 이용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된 것이 첫번째 사례이다. 이후부터 꾸준히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포되고 있으며 그 비율은 2020년 하반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유포 경로로는…
BlueCrab 랜섬웨어 유포 사이트 공개 (1) Posted on 2020년 12월 2일 “JS.BlueCrab” 랜섬웨어는 국내 사용자를 타겟으로 유포되는 랜섬웨어로 해외에서는 “Sodinokibi”로 불린다. ASEC분석팀은 해당 랜섬웨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대응 중이며 굵직한 변형이 발생할 때마다 관련 정보를 게시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유포 사이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자체적으로 수집 중인 다수의 유포 사이트 URL을 공개한다. 이후 수집한 URL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블로그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해당 랜섬웨어는 악성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을 유도하는 “가짜 포럼 페이지”를 통해 유포되는 것이 특징이다. 가짜 포럼 페이지는 특정 파일을 공유하는 포럼 페이지로 위장하고 있으며, 공격자가 게시한 “유포 게시글”로 부터 로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