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BS를 통해 유포 중인 AgentTesla

ASEC 분석팀은 최근 악성 VBS 통해 AgentTesla가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크립트 파일에는 다수의 코드가 여러 번 난독화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AgentTesla는 지난 5월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을 통한 유포가 확인된 이력이 있으며 지속적으로 유포 방식을 변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VBS 스크립트는 메일에 압축 파일 형태로 첨부되어 유포된다. 최근에는 국내 기업을 사칭한 유포 메일도 확인되었다. 압축파일 내부에는 VBS가 존재하며 유포 파일명으로 송장, 제안서 등의 파일명을 주로 사용한다. 확인된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날짜 파일명 10/05 doc_10049500220529464169750.pdf.vbs 10/07 doc_5246701207754814333490.vbs 10/12 № 106 –…

BYOVD 기법으로 백신 프로그램을 무력화하는 라자루스 공격 그룹의 악성코드 감염 사례

2022년 4월 안랩은 ASEC 블로그 (INITECH 프로세스를 악용하는 라자루스 공격 그룹의 신종 악성코드, https://asec.ahnlab.com/ko/33706)에서 라자루스 공격 그룹이 악성코드 감염을 위해 INITECH 프로세스를 악용한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본 글에서는 라자루스 공격 그룹이 워터링 홀 기법을 통해 시스템 해킹에 성공 후 내부 네트워크 내의 시스템들을 추가로 해킹하기 위해 드림시큐리티사의 MagicLine4NX 제품의 취약점을 이용하고 있으며, 취약한 드라이버를 이용해 백신 프로그램을 무력화하고 있다는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최초 침투 공격자는 피해 시스템에 침투하기 위해 워터링 홀 공격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 웹 사이트를 해킹한 후, 해당…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010 ~ 20221016)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0월 10일 월요일부터 10월 16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44.4%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41.7%, 백도어 12.5%, 랜섬웨어 0.9%, 코인마이너가 0.5%로 집계되었다. Top1.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18.1%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Qakbot 악성코드 국내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지난 9월에 소개했던 Qakbot 악성코드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ISO 파일을 이용한 점을 포함한 전체적인 동작 과정은 기존과 유사하지만, 행위 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과정이 추가되었다. 먼저,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포된 이메일은 아래와 같다. 해당 메일은 기존 정상 메일을 가로채 악성 파일을 첨부하여 회신한 형태로, 이전에 블로그를 통해 소개했던 Bumblebee 와 IceID 의 유포 과정과 동일하다. 사용자는 이전 메일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정상적인 회신 메일로 착각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이메일 하이재킹 방식이 증가하고 있는…

취약한 아파치 톰캣 웹 서버를 대상으로 설치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취약한 아파치 톰캣 웹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을 확인하였다. 최신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톰캣 서버는 대표적인 취약점 공격 벡터 중 하나이다. 과거에도 ASEC 블로그에서 취약한 JBoss 버전이 설치된 아파치 톰캣 서버를 대상으로 한 공격을 소개한 바 있다. 공격자는 취약점 공격 도구인 JexBoss를 이용해 웹쉘을 설치한 후 미터프리터 악성코드로 감염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공격자들은 스캐닝 결과 취약한 버전을 갖는 웹 서버가 확인되면 버전에 맞는 취약점을 이용해 웹쉘을 설치하거나 악성 명령을 실행한다. 참고로 IIS 윈도우 웹 서버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