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포털 사이트 Daum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 Posted By ASEC , 2022년 7월 22일 ASEC 분석팀은 해당 블로그 작성 날짜 기준으로 전날인, 2022년 7월 21일에 국내 포털 사이트 중 하나인 Daum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해당 피싱 메일은 제목에 RFQ를 포함하여 견적 요청서로 둔갑하였으며, 첨부 파일을 이용하여 피싱 페이지로 유도하도록 만들어졌다. 첨부 파일은 HTML 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첨부 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아래 주소로 리다이렉션된다. hxxps://euoi8708twufevry4yuwfywe8y487r.herokuapp[.]com/sreverse.php 리다이렉션이 된 후, 아래와 같은 Daum으로 위장한 피싱 페이지[그림 3-좌]가 출력되며, 실제 로그인 페이지[그림 3-우]와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하게 꾸며 놓은 것을 알 수 있다. 피싱…
Proxyware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공격자들 Posted By Sanseo , 2022년 7월 22일 Proxyware란 설치된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인터넷 대역폭 일부를 외부에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이를 설치하는 사용자는 대역폭을 제공하는 대신 일정한 금액을 받는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로는 Peer2Profit, IPRoyal과 같은 회사들이 있다. 해당 업체들은 제공 받은 대역폭을 다른 업체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는데 홈페이지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배포, 시장 조사, 광고 검증, 소프트웨어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시스템에 Proxyware를 설치함으로써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외부의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위험을 감수해야…
특정 군부대 유지보수 업체 대상으로 AppleSeed 유포 Posted By ASEC , 2022년 7월 21일 ASEC 분석팀은 최근 특정 군부대 유지보수 업체 대상으로 AppleSeed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AppleSeed 악성코드는 Kimsuky 조직에서 주로 사용되는 백도어성 악성코드로 최근 여러 대상을 타깃으로 활발히 유포하고 있다. 이번에는 특정 군부대의 이름이 담긴 아래와 같은 파일명으로 악성코드 유포가 이루어졌다. 20220713_****부대_설치 예상 일정V004_***시스 수정_6.xls 최초 엑셀 문서 형태(XLS)로 유포가 이루어졌으며, 백신을 우회하기 위해서인지 엑셀 파일은 암호로 보호되고 있다. 해당 문서 파일을 실행하면 [그림 2]와 같이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쓰여있으며,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면 매크로에 의하여 [그림 3]으로 본문이…
ISO 파일을 통해 IcedID 유포 중 Posted By ASEC , 2022년 7월 20일 ASEC 분석팀은 ISO 파일을 통해 다양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해왔다. 최근에는 ISO 파일을 통해 모듈형 뱅킹 악성코드인 IcedID 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유형은 2가지로, 하나는 이전에 소개했던 Bumblebee 악성코드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였다. 나머지 유형 또한 비슷한 방식을 사용했지만, 스크립트 파일과 cmd 명령어가 추가된 형태이다. 먼저, 첫번째 유형은 IcedID 가 실행되는 과정 및 유포되는 과정이 이전에 소개한 Bumblebee 악성코드와 모두 동일하다. 정상 메일을 가로채는 이메일 하이재킹을 이용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악성 파일을 첨부 후 사용자에게 회신하였다. 악성 파일은 압축…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 변경(*.msi -> *.cpl) – 7/20일자 Posted By ASEC , 2022년 7월 20일 2022년 2월부터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IE 브라우저 취약점이 아닌 Windows 설치 패키지 파일(.msi) 형태로 유포되고 있었다. 유효한 인증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MSI 파일 내부에 DLL 형태로 유포되는 상황에서 7/20(수)부터는 MSI 파일이 아닌 CPL 확장자(Windows Control Panel Item)로 유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위 그림과 같이 기존 MSI 파일 유포 현황이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아,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공격자는 MSI파일에서 CPL파일 유포로로 전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2/07/19) MS.Upgrade.Database.Cloud.msi(2022/07/20) MS.Upgrade.Database.Cloud.cpl (Chrome 브라우저)(2022/07/20) MS.Upgrade.Database.Cloud.zip (Edge 브라우저) Chrome 브라우저이 경우 cpl파일 그대로 다운로드되고 있으나, Edge브라우저의 경우 cpl파일 다운로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