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문서를 통해 유포되는 LockBit 3.0 랜섬웨어

ASEC 분석팀은 9/23 공유한 <입사지원 위장 메일로 유포 중인 NSIS형태의 LockBit 3.0 랜섬웨어>가 워드 문서 형태로도 유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확한 유포 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유포 파일명으로 ‘임규민.docx’, ‘전채린.docx’ 등 사람 이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전과 유사하게 입사지원서를 위장하여 유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확인된 워드 문서 내부 word\_rels\settings.xml.rels 파일에 External 링크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문서 파일 실행 시 hxxp://ppaauuaa11232[.]cc/dlx5rc.dotm에 접속하여 추가 dotm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문서 파일 내부에는 매크로 사용을 유도하는 이미지가 존재한다. 다운로드 된 dlx5rc.dotm에는 VBA 매크로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콘텐츠 사용…

라자루스 그룹의 BYOVD를 활용한 루트킷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북한의 해킹 그룹으로 알려진 라자루스 그룹은 지난 2009년부터 국내를 비롯하여 미국, 아시아, 유럽 등의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 자사 ASD(AhnLab Smart Defense) 인프라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에 라자루스 그룹은 국내의 방산, 금융, 언론, 제약 산업군에 대해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 활동을 전개하였다. 안랩에서는 이러한 APT 공격을 면밀히 추적하였으며 공격 과정에서 보안 제품을 무력화하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공격 과정을 분석한 결과, 라자루스 그룹은 오래된 버전의 이니텍(INITECH) 프로세스를 악용하여 기업에 초기 침투를 수행한 뒤 공격자 서버로부터 루트킷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였다. 이번…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912 ~ 20220918)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12일 월요일부터 9월 1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1.5%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27.5%, 백도어 19.9%, 랜섬웨어 8.2%, 뱅킹 악성코드 2.9%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8.1%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입사지원 위장 메일로 유포 중인 NSIS형태의 LockBit 3.0 랜섬웨어

ASEC 분석팀은 LockBit 2.0 랜섬웨어가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음을 지난 2월, 6월에 걸쳐 블로그에 게시한 바 있는데, 새로운 버전의 LockBit 3.0 랜섬웨어가 유사 방식을 통해 여전히 다수 유포 중 임을 알리고자 한다. 지난 6월에는 저작권 사칭 메일로 다수 유포가 되었던 반면 최근에는 입사지원 관련으로 위장한 피싱 메일을 통해 유포 중이다. 위 메일 캡처와 같이 첨부된 압축 파일명 자체에 압축 비밀번호가 명시된 경우가 있지만, 압축 파일명에 명시하지 않고 메일 본문에 압축 비밀번호를 명시한 케이스도 확인되었다. 후자의 경우 메일을 수신한 사용자만 이…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FARGO 랜섬웨어 (Mallox)

ASEC 분석팀은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악성 코드들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최근 FARGO 랜섬웨어가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FARGO 랜섬웨어는 GlobeImposter 랜섬웨어와 함께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대표적인 랜섬웨어이며 과거에는 .mallox 확장자를 사용함에 따라 Mallox 랜섬웨어라고도 불린다. –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Remcos RAT–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발트 스트라이크–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발트 스트라이크 (2)–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