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09 – 054 수정된 패치 업데이트 공지 Posted By ASEC , 2009년 11월 5일 기존의 MS 09 – 054 윈도우 보안 패치 후 이 패치를 적용한 시스템에서 인터넷 오류나 브라우징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미 MS 09 – 054 패치를 하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새로운 패치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976749 해당 패치에 대한 MicroSoft 의 원문입니다. 업데이트 974455 (MS09-054)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한 후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Internet Explorer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는 다음 Microsoft 기술 자료 문서에서 설명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업데이트를 출시했습니다. 표 축소표 확대 문서 번호 문서 제목 976948 (http://support.microsoft.com/kb/976948/ ) 스크롤된 요소 자식을 Windows Internet Explorer 8 잘못 보고될 수 있습니다 포함된 요소가 offsetTop 계산 976949 (http://support.microsoft.com/kb/976949/ ) “형식 불일치” VBScript 받은 누적 보안 업데이트 974455 설치한 후 Internet Explorer에서 스크립트 오류 메시지 이러한 문제는 특정 검색 시나리오의 누적 보안 업데이트에는 Internet Explorer (MS09-054…
“부팅불가 & 검은화면에 마우스” 악성코드, Bug Fix? Posted By ASEC , 2009년 11월 5일 안철수연구소 ASEC대응팀에서는 Active Honeypot 모니터링을 통해서 “부팅불가 & 검은화면에 마우스” 악성코드의 변종이 여러 사이트에서 유포중임을 인지하여 V3 엔진에 반영하였으며 V3로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Win-Trojan/Daonol.46080 Win-Trojan/Daonol.71168 Win-Trojan/Kates.71168 Win-Trojan/Kates.49152 Win-Trojan/Daonol.48640
get back to my office for more details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31일 아래와 같은 문구의 스팸메일이 발생하고 있어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목 : get back to my office for more details Please read the attached letter and get back to my office for more details to proceed further. Thanks and have a very nice day. 첨부파일 : info.zip 해당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악성코드 이므로 절대 실행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스팸메일과 관련하여 아래 사항만 늘 숙지하고 지킨다면 스팸메일을 통한 악성코드는 예방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1. 발신인이 불분명한 메일일 경우 가급적 메일을 확인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항상 최신 엔진을 유지하며, 실시간 감시 기능을 사용합니다. 3. 메일 내에 포함된 첨부파일에 대해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를 한 후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4. 메일 본문에 포함된 URL은 가급적 접속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트위터(Twitter)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 주의!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29일 최근 트위터(Twitter)를 사칭한 피싱 사이트로 유도하는 아래와 같은 메시지 혹은 스팸메일이 유포되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페이스북(FaceBook)을 위장한 스팸메일처럼 역시 해당 메세지도 사회공학적 기법을 이용합니다. hi. this you on here? http://bit.ly/****** 위 메세지에서 안내해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트위터와 똑같이 생긴 사이트로 접속을 하게 됩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 사용자 계정이 탈취당하게 됩니다. 피싱 사이트는 아래와 같은 사항만 늘 숙지하고 지킨다면 계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1. 스팸메일, 게시물 혹은 댓글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유도하는 사이트는 의심을 합니다. 2. 로그인 시 항상 현재 내가 로그인 하는 사이트가 정확한 주소로 연결되어 있는지 웹브라우져에서 확인합니다. 3. 만약 유출될 상황을 대비하여 모든 사이트에 똑같은 계정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 스팸 메일 주의!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29일 Facebook 메일을 위장한 아래 그림의 스팸 메일이 발송되고 있습니다. 필자도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는데 실제 페이스북 UI와 흡사하여 실제 사이트인지 분간하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특정 사이트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라고 직접 메일을 보내는 경우는 보기 드물고 해당 사이트의 홈페이지 공지 등에서 관련 내용이 없다면 의심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상기 스팸메일 내 “Update” 버튼이나 “here” 부분을 클릭하면 아래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상기 페이지에 email과 password를 임의로 입력하여도 접속이 되며 아래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상기 그림에서 빨간색 네모 안의 “updatetool.exe”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게 유도를 합니다. 하지만 다운로드한 파일은 업데이트를 위한 파일이 아닌 V3에서 아래 진단명으로 진단하는 악성파일입니다. updatetool.exe – Win-Trojan/ZBot.105472.C 최근에 계속 연재하고 있는 스팸메일들을 보면 사회공학적 기법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나 기업에서 보낸 메일처럼 위장하여 악성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게 하거나 계정정보를 탈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