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Outlook Notification for the [메일주소]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15일 Microsoft Outlook Notification for the [메일주소] 로 유포되는 스팸메일이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요합니다. 해당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허위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 설치파일 입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메일을 수신하셨으면 첨부된 실행파일을 실행하시 마시기 바랍니다.
Conficker 조치 가이드 (1)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13일 1. Conficker 개요 ——————————————————————————————————- 해당 악성코드는 윈도우 보안 취약점(MS08-067), 관리공유 및 이동디스크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어 네트워크 자원(랜덤 및 B클래스 IP대역을 대상으로 Remote TCP 445포트로 대량의 트래픽 발생)을 소모시킨다. 추가적으로 진단을 어렵게 하는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악성코드 원본을 Svchost.exe에 Remote Handle(원격핸들)로 오픈하여 실행되며, 악성코드가 등록한 레지스트리 서비스 및 악성파일 원본에 Read권한을 없애 파일/레지스트리에 접근을 불가능하게 한다. 2. Conficker 증상 확인 방법 ——————————————————————————————————- A. 네트워크를 통한 확인 방법 [주요 증상] – TCP 445 포트로 다량의 트래픽을 발생 – DNS 쿼리를 후킹하여 보안 사이트만 접속되지 않도록 하는 증상 발생 (ex) MS 사이트, ahnlab.com 등 [의심 증상] – 랜덤 및 B클래스 IP대역을 대상으로 Remote TCP 445포트를 통한 대량의 트래픽 발생시키는 시스템 존재 [세부 확인] – 의심 증상이 발생되는 시스템에서 패킷 덤프를 저장한 후…
안전모드 부팅 및 안전모드 부팅 후 V3로 시스템 검사하기 Posted By ASEC , 2009년 9월 29일 안전모드로 부팅 및 안전모드 부팅 상태에서 V3로 시스템을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1. 안전모드 부팅 안전모드 부팅하는 방법은 시스템 시작할 때 (PC 전원이 켜졌을 때) F8 번 키를 계속 누르시면 (0.5초 간격) 아래 그림과 같이 Windows 고급 옵션 메뉴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아래 화면에서 “안전 모드(네트워킹 사용)” 모드를 선택하여 부팅을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의 확인창이 팝업되면 “확인”을 누르시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십니다. 2. 안전모드 부팅 후 V3로 시스템 검사하기 * “안전모드 부팅 후 V3로 시스템 검사하기” 는 안전모드 후 추가적으로 시스템을 검사하실 고객께서만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에서 설명해 드린 안전모드 부팅 밥번을 참조하시어 안전모드로 부팅하시고 V3 를 실행하신 후 시스템을 검사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각각의 제품 별로 안전모드 상에서 V3로 시스템을 검사하는 아래 캡쳐 화면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V3 IS 8.0 제품] [V3 IS 7.0 제품] [V3 Lite 제품]
Total Security 조치 가이드 Posted By ASEC , 2009년 9월 29일 1. 개 요 최근 새롭게 변형되어 등장한 허위 안티 바이러스(AV) 프로그램인 Total Security에 대한 피해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조치가이드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 주요 증상 1) 바탕화면이 아래와 같이 바뀝니다. 2) 아래의 그림과 같은 “Total Security” 라는 허위 안티바이러스(AV)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3) 증상 발생 시 조치방법 먼저 Ice Sword 툴을 다운로드 합니다. 프로그램은 아래 주소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 http://asec001.v3webhard.com/IceSword.zip Ice Sword 프로그램을 실행 후 [Process] 메뉴로 가서 [숫자8자리.exe] 프로세스를 찾은 후 아래 그림처럼 마우스 오른 클릭 후 [Terminate Process]를 선택합니다. 이제 Ice Sword 에서 [File] 메뉴를 선택을 합니다. 선택 후 아래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Application Data 해당 경로로 이동을 하면 [숫자8자리] 이름으로 된 폴더가 있습니다. 해당 폴더를 역시 마우스 오른클릭 후 [Force Delete]를 누릅니다….
_Restore 폴더 치료 불가에 대한 조치 방법 Posted By ASEC , 2009년 9월 26일 _Restore 폴더는 Windows Me/XP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복원 폴더로서 윈도우 환경에서는 해당 폴더내 파일을 삭제할 수 없도록 윈도우에서 쓰기금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폴더에서 진단되는 경우 치료실패로 나타나게 됩니다. 해당 폴더에서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가 발견되는 것은 사용자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치료나 삭제한 파일이 해당 폴더에 백업된 것 입니다. 따라서 해당 폴더내에서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등이 발견 되어도 사용자가 어느 시점으로 시스템을 복원하지 않는 이상 해당 파일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그대로 두셔도 무방합니다. 또한 요즘의 최신 백신들은 해당 폴더를 기본적으로 검사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아래 V3 제품의 [환경설정]을 확인하시면 더 이상 해당 폴더는 검사하지 않습니다. V3 Pro 2002 Deluxe 경우 1. V3를 실행하여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2. [고급설정]-> “시스템 복원 폴더 검사” 부분을 체크 해제합니다. V3 Pro 2004 경우 1. V3를 실행하여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2. [비검사영역]-> “시스템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