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정품 인증 툴을 이용해 유포 중인 BitRAT, XMRig 코인 마이너 Posted By Sanseo , 2022년 8월 16일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윈도우 정품 인증 툴을 위장하여 BitRAT과 XMRig 코인 마이너가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BitRAT은 아래의 블로그들에서 다룬 바와 같이 이전에도 웹하드를 통해 MS 윈도우 정품 인증 툴과 MS 오피스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된 이력이 있으며, 현재 블로그에서 다루는 사례도 동일한 공격자로 추정된다. 특이한 점으로는 V3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BitRAT 원격제어툴이 설치되며, V3 설치 환경에서는 (BitRAT 가 아닌)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최초 유포 사례는 확인되지 않지만 현재 기준 악성코드는 MediaFire라고 하는 파일 호스팅 사이트에 KMS 윈도우…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01 ~ 20220807)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10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1일 월요일부터 8월 7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7.4%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22.6%, 다운로더 20.0%, 랜섬웨어 6.8%, 뱅킹 2.6%, 코인마이너 악성코드가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5.8%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725 ~ 20220731)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2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7월 25일 월요일부터 7월 3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8.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38.1%, 다운로더 23.3%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3.8%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사용하는…
웹하드를 통해 유포 중인 모네로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 Posted By Sanseo , 2022년 8월 1일 웹하드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악성코드 유포 플랫폼이다. ASEC 분석팀에서는 웹하드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과거 다수의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공유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공격자들은 성인 게임이나 사용 게임의 크랙 버전과 같은 불법 프로그램과 함께 악성코드를 유포한다. 이렇게 웹하드를 유포 경로로 사용하는 공격자들은 주로 njRAT이나 UdpRAT, DDoS IRC Bot과 같은 RAT 유형의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최근 ASEC 분석팀에서는 웹하드를 통해 XMRig 즉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유포하는 사례가 확인되어 블로그에 소개하려고 한다. 악성코드가 유포된 경로를 확인한 결과 다음과…
국내 기업 대상의 귀신(Gwisin) 랜섬웨어 Posted By ASEC , 2022년 7월 27일 최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귀신(Gwisin) 랜섬웨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 랜섬웨어는 특정 기업을 타겟으로 제작되어 유포되고 있으며, 매그니베르(Magniber)와 동일하게 MSI 설치 파일 형태로 동작한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유포되는 매그니베르와 달리 귀신 랜섬웨어는 파일 단독 실행 만으로는 행위가 발현되지 않고, 특별한 실행 인자 값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자 값은 MSI 내부에 포함된 DLL 파일의 구동에 필요한 키 정보로 활용된다. 이러한 동작 방식의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샌드박스 환경의 보안 제품에서는 파일 실행만으로 랜섬웨어 행위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탐지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내부 D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