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Digital Protection / Data Protection 주의! Posted By ASEC , 2010년 5월 5일 1. 서론금일 Digital Protection / Data Protection 이라는 프로그램명의 허위백신이 많이 발견되어 증상 및 조치가이드를 안내해 드립니다. 2. 감염 시 증상 해당 허위백신이 실행이 되면 아래와 같은 트레이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그림1. 감염 시 나타나는 트레이 아이콘] 이때 트레이 아이콘이나 메세지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아래창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으로 속이기 위한 창으로 실제로는 허위백신과 관련된 파일을 특정 주소에서 다운로드 하는 과정입니다. [그림2. 허위백신에 사용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화면] 시간이 지나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보안 센터와 비슷하게 꾸민 창이 나타나며 바탕화면에 성인사이트로 연결하는 아이콘이 생성되기도 합니다. [그림3. 윈도우 보안센터와 비슷하게 만든 거짓 알림 창] 그리고 아래와 같은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그림4. 허위 안티바이러스(백신) 실행 화면] 3. 조치 방법 현재 V3 제품에서 해당 허위백신을 진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V3 제품에서…
Autoruns 사용법! – Series (3) Posted By ASEC , 2010년 5월 4일 안녕하세요~~~ 5월입니다~ 5월은 그 숫자만으로 밝고 푸른 느낌을 주지 않나요 ^^? 여의도 공원은 사람들로 북적대고 간간히 촬영하시는 연예인님들도 보입니다. 얼마 전에는 이 시대의 대표 꽃남이죠? 이민호군을 봤습니다. 참……잘생겼더군요! 이렇게 아름다운 5월! 상큼하게 Autoruns를 통한 악성코드 대응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이미 Series(1), (2) 를 통해 기능 설명은 해드렸고요, 오늘은 최종회입니다! 그럼, 상콤하게 출발~! 가장 먼저, 악성코드를 동작 시켜 그 상태를 Autoruns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시연에 사용될 악성코드는 BHO 관련 악성코드로 V3에서는 아래의 진단명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Autoruns Serires (1)에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BHO의 정보는 Explorer와 Internet Explore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직접 해당 엔트리를 통해 해 확인해 보죠! 위의 그림에서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부분 “Not Verified(전자서명 없음)” 부분입니다. 그 다음으로 Image Path를…
[악성스팸주의!] Shipping update for your Amazon.com order 254-71546325-658732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29일 아마존 주문의 택배 메일을 가장한 메일이 유포되고 있습니다. 주문 상세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라고 메일에 기재되어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실행을 유도합니다. 실제로 메일에 첨부된 압축 파일을 압축해제해 보니아래와 같이 jpg 파일인 것처럼 사용자를 현혹시키네요 아래 링크의 이전 글에서 알려드린 것처럼 확장자 숨기기 옵션을 해제하면 아래 그림처럼 확장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실행파일을 의미하는 .exe 와 사용자를 현혹시키기 위한 .jpg 사이에 많은 공백을 두어 사용자로 하여금 jpg 파일인 것처럼 속이려고 하기 때문에 확장자를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파일 확장자 숨기기 옵션 해제 첨부된 파일이 실행되면 대량의 스팸메일이 발송됩니다. 아래 그림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 한 그림이며 25번 port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외 동일한 종류의 악성파일들이 발견되고 있으니 해당 스팸메일 수신 시 주의…
Autoruns 사용법! – Series (2)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28일 안녕하세요! 오늘은 Autoruns tool 소개 두번째 시간입니다. 이전 글에서 언급했던 데로 본 글에서는 Autoruns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Autoruns를 실행한 후 아래 화면을 보면 매우 많은 정보들이 확인 됩니다. 이들 정보들 중에는 윈도우와 관련된 정상적인 부분도 다수 포함되어있습니다. 정상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이들 정상 정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볼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그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Options -> Hide Microsoft and Windows Entries 또는 Hide Windows Entries ] 항목 선택 선택하면 바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 고침(F5)을 한번 꾹! 눌러주도록 합니다. Everything에서도 각 항목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나 되도록이면 각 세부 엔트리를 통해 각각의 정보를 확인 하는 것을 적극 권장합니다. …
Facebook Password Reset Confirmation! Support Message.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27일 최근에 페이스북 계정을 해킹하여 판다는 내용의 정보가 올라왔습니다.[페이스북 계정 해킹 관련 내용]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20621&kind=0 http://www.eweek.com/c/a/Security/15-Million-Facebook-Accounts-for-Sale-in-Web-Forum-VeriSign-Reports-875346/http://sunbeltblog.blogspot.com/2010/04/crook-offering-15-million-facebook.html?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3A+SunbeltBlog+%28Sunbelt+BLOG%29 이러한 시기에 페이스북 비밀번호 리셋 관련 메일을 가장하여 악성코드를 전파하는 스팸메일이 확인되어 안내해 드립니다. 제목 : Facebook Password Reset Confirmation! Support Message. Dear user of facebook, Because of the measures taken to provide safety to our clients, your password has been changed. You can find your new password in attached document. Thanks, Your Facebook. 첨부된 파일은 아래 그림과 같이 Microsoft Office Word 파일의 아이콘으로 위장하고 있습니다. 해당 파일은 현재 V3 제품군에서 Win-Trojan/Bredolab.48640.B 진단명으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항상 아래 내용을 준수하여 스팸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의 위험으로 부터 미연에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1. 발신인이 불분명한 메일일 경우 가급적 메일을 확인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안티바이러스(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항상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