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양식 위장한 한글문서 (OLE개체)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29일 ASEC 분석팀은 최근 OLE 개체 및 플래쉬 취약점 이용한 악성 한글 문서를 확인하였다. 해당 취약점은 2020년 공유한 <한글문서(HWP) 내부 플래쉬 취약점 이용한 새로운 공격> 게시글에서 소개되었으며, 이번에 확인된 파일에도 당시와 동일한 악성 URL을 사용하고 있다. 해당 URL에는 여전히 플래시 취약점(CVE-2018-15982) 파일이 업로드되어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확인된 한글 파일 내부에는 OLE 개체가 삽입되어 있으며 해당 파일들은 한글 문서 실행 시 %TEMP% 폴더에 생성된다. 생성되는 파일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 알려진 powershell.exe, mshta.exe 파일을 바로 이용하지 않고, %TEMP% 경로에 복사하여 이용한 점은…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815 ~ 20220821)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24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8월 15일 월요일부터 8월 2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7.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24.2%, 다운로더 13.7%, 랜섬웨어 3.7%, 코인마이너 악성코드가 0.6%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38.5%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생일 축하 내용으로 위장한 악성 한글 문서 (OLE 개체)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23일 ASEC 분석팀은 최근 악성 한글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VBScript를 확인하였다. 해당 악성코드의 정확한 유포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VBScript는 curl을 통해 다운로드 된다. 현재 확인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두 명령어 모두 %APPDATA% 폴더에 vbtemp 명으로 스크립트를 저장한다. hxxp://datkka.atwebpages[.]com/2vbs 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 스케줄러 등록 및 추가 파일 다운로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VBScript 코드가 존재한다. 다운로드 된 vbtemp 파일은 wscript //e:vbscript //b %APPDATA%\vbtemp 명령을 통해 실행된다.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APPDATA% 폴더에 tmp~pth 파일이 존재해야 한다. 현재 tmp~pth 파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APPDATA 폴더의…
대북 관련 특정인을 타겟으로 하는 악성 워드 문서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19일 ASEC 분석팀은 안보 및 대북 관련 특정인을 타겟으로 하는 악성 워드 문서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포가 확인된 워드 문서의 파일명에는 대북 관련 인물의 이름이 포함된 경우가 다수 존재하여 해당 분야를 타겟으로 공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확인된 워드 문서의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날짜 파일명 7/18 (작성양식)2022년 광복절 경축사 전문가 사전 의견수렴.doc 7/20 0511_통일부 *** 부장 회의록.doc 8/1 Asan Symposium 2022.doc 8/3 질문지(현** 연구위원님).doc 8/4 질문지(안** 총장님).doc 8/11 (기획)세션6. 경기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사회적 대화” 추진방안.doc 8/16 질문지(정** 박사님).doc 8/17…
GitHub에 솔루션파일(*.sln) 위장하여 유포되는 RAT 툴 Posted By ASEC , 2022년 8월 18일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GitHub 에서 솔루션파일(*.sln)을 위장하여 RAT 툴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1] 은 악성코드 유포자가 GitHub에 “Jpg Png Exploit Downloader Fud Cryter Malware Builder Cve 2022” 제목으로 소스코드를 공유한 내용이다. 프로그램의 구성파일이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이 중 솔루션파일(*.sln)은 RAT 툴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악성코드 유포자는 RAT 툴을 솔루션파일(*.sln)로 위장하여 실행을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머는 솔루션파일이 포함된 코드를 받고 프로젝트를 열기위해 솔루션파일을 오픈한다. 이러한 심리를 이용한 사회공학기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위 파일들을 받게되면 아래 [그림2] 처럼 파일들이 존재한다. [그림2]의 환경은 “알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