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Twitter XSS 취약점

9월 7일 ASEC 블로그를 통해 전달된 Twitter XSS(Cross-site scripting) 취약점이 아직 완전히 패치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fig. Twitter XSS POC ] 현재 in-the-wild 샘플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최초 POC 코드가 공개된 후 얼마 되지 않아 In-the-Wild 샘플이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곧 이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위 취약점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임시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축약 URL 은 반드시 full URL 을 확인하고, twitter.com 의 하위 주소가 수상한 url은 가급적 접속하지 않는다. * 참고자료 http://www.securelist.com/en/blog/2276/Twitter_XSS_in_the_wild http://blog.ahnlab.com/asec/397 추가 내용 9월 8일 현재는 해당 취약점에 대해 조치가 완료되었습니다.

ARP Spoofing을 통해 전파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1. 개요 최근 악성코드 중 ARP Spoofing 증상을 발생하는 악성코드가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에 대해 조사를 하여 확인된 바 국내의 다수의 사이트에 해당 악성코드를 감염시키는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다수의 피해가 우려되어 해당 정보를 공유하고자 해당 문서를 작성합니다. ※ 아래 ARP Spoofer 전용백신 링크를 통해제공되는 전용백신은 2010년 9월 4일부터 현재까지 유포된 ARP Spoofing 증상 유발 악성코드만을진단/치료 하는 전용백신입니다. 모든 악성코드가 대상이 되지는 않으며 알려진 형태만을 진단/치료 합니다. 또한 본문 하단의 ARP Spoofing 탐지/차단 툴은 ARP Spoofing 패킷을 유발하는 시스템을 탐지/차단하는 툴이며 해당 시스템을 치료하기 위해선 V3제품군 또는 v3arpspoofer.exe 전용백신으로 진단/치료하시기 바랍니다. ARP Spoofing 탐지/차단 툴 : ARP Spoofing 패킷을유발하는 시스템을 탐지/차단하는 툴 ARP Spoofer 전용백신 : ARP Spoofing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을진단/치료 하기위한 전용백신 ARP Spoofer 전용백신 2. 악성코드 감염 경로 해당 악성코드는 웹사이트에…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방법

이번에는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를 하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Microsoft Update 보안 업데이트란 바이러스나 악성코드 공격자의 관리, 권한 제어문제, 윈도우 취약점 문제와 관련하여 Windows를 보안/패치 함으로써 자신의 컴퓨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Microsoft Update를 하는 이유는 컴퓨터의 상태와 보안을 개선하기 위해서 입니다.Microsoft에서 제공하는 최신 소프트웨어로 컴퓨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Windows PC의 보안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럼 Windows Update 보안 업데이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XP 인 경우 1. 시작 – 모든프로그램 – Windows Update를 클릭합니다. 2. Windows Update 창에서 ActiveX 컨트롤 설치를 클릭합니다. 3. Windows Update Software 설치를 클릭합니다. 4. 지금 설치를 클릭합니다. 5. 설치를 클릭하게 되면 화면과 같이 Update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게 됩니다. 6. 빠른 설치는 Microsoft에서 지원하는 모든 보안패치를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의 어려움 없이 자동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트위터의 Direct Message을 이용한 사이트 전파 사례 (유사한 방법으로 피싱 메시지 악용 가능)

1. 서론   최근 가장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위터(Twitter)를 통해 다수의 사이트를 전파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트위터의 DM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든 팔로워(follower)들에게 해당 링크로 연결시켜주는 메시지를 발송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방법이 피싱메시지 전송으로 악용이 된다면 트위터 계정정보  탈취와 같은 문제를 유발할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2. 링크 유도 방법 및 사례 

VBS/Autorun 악성코드 감염사례 및 치료, 예방방법

1. VBS(Visual Basic Script)와 VBS 이용 악성코드 작성 이유   요즘에는 전문서적뿐 아니라 인터넷의 정보를 이용하면 누구나 유해 가능한 악성코드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제작하는데 있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VBS(Visual Basic Script)입니다. 그래서 빈번하게 퍼지고 있는 유해 악성프로그램(바이러스, 웜, 백도어, 트로이목마 등)의 종류를 보면 VBS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많습니다.  VBS란 비주얼 베이직의 서브세트로써,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에서 개발한 자바 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MS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서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로 비주얼 베이직 문법에 기초를 두고 제작되어 HTML문서 안에 스크립트를 두고 동적으로 처리하는 언어이며 대화형 월드 와이드 웹(WWW) 홈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또 액티브 X 제어(Active X control)나 자바 애플릿(Java applet)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프로그램 제작 언어(어셈블러, C 등)에 비하여 프로그램 분석이나 제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