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IIS 5와 6 FTP 서비스 코드 실행 취약점 발견

2009년 8월 31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제품군에서 웹 서비스와 FTP 서비스를 수행 할 수 있도록 구성해주는 IIS(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IIS 관련 취약점은 스택 오버플로우(Stack Overflow)를 이용하여 공격자가 지정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악의적인 공격자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사례 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는 보고 되지 않았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아직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음으로 윈도우 서버에서 IIS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스템 관리자들은 시스템 관리에 많은 주의가 요구 된다. 해당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ASEC 보안 권고문을 참고 하기 바란다. ASEC Advisory SA-2009-013 마이크로소프트 IIS 5/6 FTP 서비스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2009년 8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09년 7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를 2009년 8월 12일 금일 배포하였다. 이 중에는 ASEC에서 2009년 7월 14일 보고한 제로데이(Zero-Day, 0-Day)인 MS 오피스 웹 컴포넌트 취약점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도 포함되어 있어 즉시 사용하는 윈도우 시스템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배포된 보안 취약점들에 대한 보안 패치들은 아래와 같다. MS09-036 Microsoft Windows의 ASP.NET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970957) MS09-037 Microsoft ATL(액티브 템플릿 라이브러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973908) MS09-038 Windows Media 파일 처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971557) MS09-039 WIN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969883) MS09-040 Message Queuing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971032) MS09-041 Workstation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971657) MS09-042 텔넷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960859) MS09-043 Microsoft…

악성코드 제작으로 유효한 마이클 잭슨의 사망

2009년 7월 21일 핀란드에 위치한 보안 업체 에프시큐어(F-Secure)에서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의 사진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스팸 메일로 수신되었다고 한다. 해당 스팸 메일에는 MichaelJackson.jpg.exe 라는 첨부파일이 존재하였다고 한다. 첨부된 해당 파일은 RAR Sfx로 압축되어 있으며 해당 파일을 실행 하면 위 이미지에서와 같이 마이클 잭슨 생전 모습의 사진이 나타나게 된다. V3 제품군에서는 스팸 메일로 뿌려진 해당 악성코드를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Dropper/Zapchast.1070777 이러한 악성코드의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숙지 할 필요가 있다. 1.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웹 사이트를 통해 시스템에 설치된 윈도우 운영체제, 인터넷 익스플로러 및 오프스 제품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제거하는 보안 패치를 모두 설치한다. 2.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V3 365 클리닉과 같은 방화벽과 백신이 포함되어 있는 통합 보안 제품을 반드시 설치한다. 3.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유포되는 악성코드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이트가드(SiteGuard)와 같은…

중국산 오피스 웹 컴포넌트 취약점 생성기 발견

ASEC에서는 2009년 7월 14일 아래와 같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오피스(Office) 제품군에 포함되어 있는 웹 컴포넌트(Web Components) 관련 OWC10.DLL과 OWC11.DLL 파일에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공격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다는 글을 게시한 바가 있다. MS 오피스 웹 컴포넌트 제로 데이 취약점 공격 악성코드 발견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쉘코드(Shellcode) 역시 중국 언더그라운드 웹 사이트들에서 급속하게 공유되고 있어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다양한 변형들이 등장 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다. ASEC에서는 중국산 MPEG2TuneRequest 취약점 생성기가 발견 된 사례가 있고 공격 코드가 급속하게 공유 되고 있음으로 해당 취약점 역시 자동화된 스크립트 악성코드 생성기가 존재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상관 관계들을 바탕으로 중국 언더그라운드 웹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위 이미지와 같이 오피스의 웹 컴포넌트 관련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 생성기가 발견되었다. 해당 생성기는 지난 발견 사례와 유사하게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와 어도비의 보안 패치 배포

2009년 7월 한 달 동안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을 악용한 제로 데이(0-Day, Zero Day) 공격이 3 차례 발생하였으며 ASEC에서는 다음과 같이 관련 글들을 게시한 바가 있다. MPEG2TuneRequest 제로 데이 취약점 공격 악성코드 발견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취약점 공격 악성코드 발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어도비(Adobe)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들을 2009년 7월 29일과 30일 제공 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아래와 같은 2개의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으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웹 사이트를 참고 하기 바란다. MS09-034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972260) MS09-035 Visual Studio ATL(액티브 템플릿 라이브러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969706) 그리고 어도비에서는 아래와 같이 1개의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으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웹 사이트를 참고 하기 바란다.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 해당 업체들에서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즉시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