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eImposter 랜섬웨어 국내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최근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GlobeImposter 랜섬웨어가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사 TIP 서비스의 분기 별 통계 자료 중 올해 ‘2022년 1, 2분기 MS-SQL 대상 악성코드 통계 보고서’에서도 해당 GlobeImposter가 언급되어 있는데, 2분기에서는 MS-SQL 대상 랜섬웨어 중 GlobeImposter가 52.6%의 비중을 차지했다. 곧 공개될 3분기 통계에서도 GlobeImposter 랜섬웨어는 여전히 집계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해당 랜섬웨어는 인코딩 된 내부의 데이터를 [그림 1]의 로직을 통해 실질적인 랜섬웨어 행위를 수행하는 [그림 2]의 DLL 파일로 디코딩한다. 이 후, 생성된 DLL 파일의…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926 ~ 20221002)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26일 월요일부터 10월 02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8.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35.1%, 랜섬웨어 14.7%, 백도어가 11.6%,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16.7%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Excel Macro 로 유포되던 Qakbot, ISO 파일로 유포 중

최근 ISO 파일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방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뱅킹형 악성코드인 Qakbot 의 유포 방식이 Excel 4.0 Macro 를 이용하던 것에서 ISO 파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ASEC 블로그를 통해 Qakbot 외에도 AsyncRAT, IcedID, BumbleBee 악성코드가 ISO 파일을 이용한 사례를 소개해왔는데, 이처럼 최근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과정에 ISO 파일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Qakbot 을 유포하는 피싱 메일은 [그림 1] 과 같으며 악성 HTML 파일이 첨부되어 있는 형태이다. 첨부된 HTML 파일을…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 변경 (*.js -> *.wsf) – 09/28

ASEC 분석팀은 지난 9월 8일 매그니베르 랜섬웨어가 CPL 확장자 에서 JSE 확장자로 변경됨을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바 있다. 공격자는 9월 8일 이후에도 지난 9월 16일에는 JSE 확장자에서 JS 확장자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금일 공격자는 JS 확장자에서 WSF 확장자로 유포 방식을 변경하였다. 공격자는 V3와 같은 백신 제품의 다양한 탐지 방식을 회피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형을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일 변경된 WSF 유포 방식은 [그림 1], [그림 2]와 같이 크롬(Chrome) 및 엣지(Edge) 브라우저 모두 동일하게 단일 WSF 파일 형태로 유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매그니베르는…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919 ~ 20220925)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19일 월요일부터 9월 25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1.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21.1%, 다운로더 17.2%, 랜섬웨어가 10.3%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0.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