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30410 ~ 20230416) Posted By ASEC , 2023년 4월 18일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4월 10일 월요일부터 4월 16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백도어가 58.4%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운로더가 23.0%, 이어서 인포스틸러 17.2%, 랜섬웨어 0.8%, 뱅킹 0.6%로 집계되었다. T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54.7%로 1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Log4Shell 취약점 공격으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8220 Gang 공격 그룹 Posted By Sanseo , 2023년 4월 17일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최근 8220 Gang 공격 그룹이 VMware Horizon 서버에 대한 Log4Shell 취약점을 이용해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격 대상으로 확인된 시스템들 중에는 국내 에너지 관련 기업도 존재하며 취약점이 패치되지 않은 취약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에 따라 다수의 공격자들의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Log4Shell(CVE-2021-44228)은 자바 기반의 로깅 유틸리티인 Log4j의 취약점으로서 원격지의 자바 객체 주소를 로그 메시지에 포함시켜 Log4j를 사용하는 서버에 전송할 경우 서버에서 자바 객체를 실행시킬 수 있는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다. 1. 8220 Gang…
BlackBit 랜섬웨어 국내 유포 중 Posted By kwonxx , 2023년 4월 17일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모니터링 중 svchost.exe로 위장한 BlackBit 랜섬웨어가 유포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ASEC 내부 인프라를 통해 확인한 결과, BlackBit 랜섬웨어는 작년 9월경부터 유포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lackBit 랜섬웨어는 닷넷 리액터를 활용하여 코드 난독화가 되어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분석을 방해하기 위함으로 추정된다. 실제 동작하는 랜섬웨어는 LokiLocker 랜섬웨어와 유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BlackBit 랜섬웨어는 암호화 행위 수행 이전에 아래와 같은 여러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지속성 악성코드의 지속성을 위해 자기 자신을 winlogin.exe의 파일명으로 시작 프로그램 경로와 %AppData%경로에 복사한…
ASEC 주간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 (20230402 ~ 20230408) Posted By ASEC , 2023년 4월 14일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샘플 자동 분석 시스템(RAPIT)과 허니팟을 활용하여 피싱 이메일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04월 02일부터 04월 08일까지 한 주간 확인된 피싱 이메일 공격의 유포 사례와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피싱은 공격자가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이메일을 통해 기관, 기업, 개인 등으로 위장하거나 사칭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크리덴셜)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또한 피싱은 넓은 의미에서, 공격자가 각종 대상을 상대로 하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온라인 사기 행위 등의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악의적인…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30403 ~ 20230409) Posted By ASEC , 2023년 4월 11일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4월 3일 월요일부터 4월 9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백도어가 61.1%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20.8%, 이어서 다운로더 16.9%, 랜섬웨어 1.1%로 집계되었다. T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52.2%로 1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