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클래식 코인을 채굴하는 코인 마이너 공격 사례 Posted By Sanseo , 2023년 1월 17일 ASEC 분석팀은 국내외를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과거 다수의 블로그들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 공격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최근에는 이더리움 클래식 코인을 마이닝하는 악성코드들이 확인되고 있어 본 포스팅에서 소개하려고 한다. 0. 개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는 사용자의 인지 없이 설치되어 시스템의 자원을 이용해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악성코드로서 감염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코인 마이너를 유포하는 공격자들은 이러한 행위 자체가 불법이기 때문에 추적을 방해하기 위해 주로 모네로와 같이 익명성을 보장하는 코인을 마이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Microsoft OneNote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 Posted By suuzzane , 2023년 1월 16일 본 문서는 최근 Microsoft OneNote를 활용하여 활발하게 유포되는 악성코드에 대한 분석 보고서이다. ASEC 분석팀은 지난해 11월부터 급격하게 증가한 OneNote 악성코드의 유포 동향을 확인하였고,파일을 실제 실행했을 때의 화면을 기반으로 제작 정도의 정교함에 따라 나누었다. 즉, ‘1) 간단한 블록 이미지로 악성 개체를 은닉한 유형’ 과 ‘2) 보다 더 정교하게 제작한 악성 OneNote 유형’ 으로 분류하였는데, 예시 샘플에 대한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1) 간단한 블록 이미지로 악성 개체를 은닉한 유형 2) 보다 더 정교하게 제작한 악성 OneNote 유형 이어서, 실제 악성 행위를 수행하는…
ASEC 주간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 (20230101 ~ 20230107) Posted By ASEC , 2023년 1월 13일 ASEC 분석팀에서는 샘플 자동 분석 시스템(RAPIT)과 허니팟을 활용하여 피싱 이메일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01월 01일부터 01월 07일까지 한 주간 확인된 피싱 이메일 공격의 유포 사례와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피싱은 공격자가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이메일을 통해 기관, 기업, 개인 등으로 위장하거나 사칭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크리덴셜)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또한 피싱은 넓은 의미에서, 공격자가 각종 대상을 상대로 하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온라인 사기 행위 등의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악의적인 속임수(technical subterfuge) 뜻한다….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30102 ~ 20230108) Posted By ASEC , 2023년 1월 11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1월 2일 월요일부터 01월 0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55.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21.3%, 이어서 백도어 14.2%, 랜섬웨어 7.9%, 코인마이너 0.8%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2.3%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원고 청탁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안보 분야 종사자 대상) Posted By ASEC , 2023년 1월 10일 ASEC 분석팀은 01월 08일 안보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원고 청탁서로 위장한 문서형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악성코드는 워드 문서 내 External 개체를 통해 추가 악성 매크로를 실행한다. 이러한 기법은 템플릿 인젝션(Template Injection) 기법으로 불리며 이전 블로그를 통해 유사한 공격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워드 문서를 실행하면 공격자 C&C 서버로부터 추가 악성 워드 매크로 문서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다. 추가로 실행되는 매크로는 사용자가 백그라운드에서 매크로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위해 정상 문서 파일도 함께 실행되도록 작성되어 있다. 공격자가 함께 유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