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00907 ~ 20200913 ) Posted on 2020년 9월 15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를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0년 9월 7일 월요일부터 2020년 9월 13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56.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Coin Miner가 22.5%,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가 10.4%를 차지하였다. 랜섬웨어는 4.0%를 차지하였으며,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3.5%, 뱅킹 악성코드는 2.9%로 그 뒤를 따랐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26.0%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https://asec.ahnlab.com/1361 최근 유입되는…
국내에 지속적으로 유포 중인 Makop 랜섬웨어 (이메일 첨부) Posted on 2020년 9월 10일 ASEC 분석팀에서는 올해 4월에 이력서로 위장하여 유포되던 makop 랜섬웨어가 8월부터 다시 활발하게 유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020/04/13 – [악성코드 정보] – [주의] 이력서로 위장한 makop 랜섬웨어 (04.13) 해당 랜섬웨어는 여전히 이메일 형태로 유포되고 있으며 HWP, PDF와 같은 문서 형태의 실행 파일(.exe) 아이콘으로 위장하고 있다. 20200908(경력사항도같이확인부탁드립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입사지원서_20200907(경력사항도같이기재되어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경력사항_200828(경력사항도 같이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경력사항_200826(경력사항도 같이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열심히하겠습니다).exe 경력사항_200824(경력사항도 같이 기재하였으니 확인부탁드릴께요 열심히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exe 문의사항(급하게 문의사항이 있어서 메일드리니 빠르게 처리 부탁드릴께요).exe 1.문의사항(아무래도 긴급한 일이라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exe 포트폴리오_200824(경력사항도 같이 기재하였으니 확인부탁드릴께요 열심히…
Vidar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정보 유출 기능 분석 Posted on 2020년 9월 8일 Vidar는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기능을 갖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아래의 주간 통계에서도 확인 되듯 Top 5 안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꾸준히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동안 Top 5에도 포함되었던 이력을 보면 다시 그 유포량이 증가할 수 있다. https://asec.ahnlab.com/1375 최근 한 달 동안 확인된 유포 파일 개수는 아래의 표와 같다. 모두 “build.exe”라는 이름으로 유포되고 있으며, (윈도우 정품인증을 위한) KMSAuto로 위장한 설치 파일 내부에 존재하는 공통점이 있다. 날짜 유포 파일 수 날짜 유포 파일 수 날짜 유포 파일 수 날짜 유포 파일 수 8월…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00831 ~ 20200906 ) Posted on 2020년 9월 7일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를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0년 8월 31일 월요일부터 2020년 9월 6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54.1%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가 14.8%, 뱅킹 악성코드 악성코드가 14.4%를 차지하였다. Coin Miner는 10.1%를 차지하였으며,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5.8%, 랜섬웨어가 0.8%로 그 뒤를 따랐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26.1%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https://asec.ahnlab.com/1361 최근 유입되는…
정상 문서 파일로 위장한 악성 코드 유포 (Kimsuky 그룹) Posted on 2020년 9월 4일 ASEC 분석팀은 지난 8월 20일부터 Kimsuky 그룹의 공격 정황을 다수 확인하였다. 파일명에 docx, pdf, txt 등 문서 확장자를 포함한 정상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이며, 해당 악성코드는 정상 파일 드롭 및 실행, 감염 PC 정보 탈취,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해당 방식은 Kimsuky 그룹이 자주 사용하는 위장 방식과 동작 방식으로 국내 정부기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하는 APT 공격에 사용된다. 유포 파일명 유포 날짜 유포 파일명 2020/08/20 4.[아태연구]논문투고규정.docx.exe 2020/08/26 Button01_[2020 서울안보대화] 모시는 글.pdf.exe 2020/09/03 [양식] 개인정보이용동의서.txt.exe 해당 악성코드 유형은 리소스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