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젠더로 노트북 하드 Slave 연결하기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19일 많은 분들께서 노트북 하드디스크를 어떻게 하면 Slave로 연결할 수 있을까? 라고 문의해 주셔서 폰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찍어 보았습니다. 1. 내 노트북 하드디스크는 어디에 있나? 노트북마다 하드디스크의 위치와 표시방법 및 꺼내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 그림은 단지 참조 사진일 뿐, 자신의 노트북은 제조 업체의 메뉴얼이나 홈페이지 등에 게시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해당 정보를 찾을 수 없으시다면 A/S 센터 직원에게 직접 전화문의를 해 보시는 것도 방법이겠죠. 저장소 위치가 표시된 곳을 확인합니다. 간혹 노트북 하드디스크 위치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본체를 통체로 분리해야 할 수 있으므로 잘 못 하다가 더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니 가까운 A/S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표시된 위치의 나사를 십자 또는 일자드라이버로 풉니다. 하드디스크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부착된 플라스틱 손잡이를 밀어냅니다. 노트북마다 하드디스크와 연결하는 방법이 탈착식이…
DHL service. You should get the parcel! Delivery NR.[숫자]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16일 아직도 DHL 메일을 가장한 스팸메일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해당 메일의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확장자는 exe이지만 아래 그림처럼 엑셀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 이 메일의 첨부파일의 경우는 실행을 하게 되면 허위백신을 설치하게 됩니다. 상기와 같은 메일을 받게 되면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Microsoft Outlook Notification for the [메일주소] Posted By ASEC , 2009년 10월 15일 Microsoft Outlook Notification for the [메일주소] 로 유포되는 스팸메일이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를 요합니다. 해당 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허위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 설치파일 입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메일을 수신하셨으면 첨부된 실행파일을 실행하시 마시기 바랍니다.
Win-AppCare 진단명 해결하기 Posted By ASEC , 2009년 9월 25일 Win-AppCare 진단명은 정상 프로그램이지만 악의적인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경우 유해가능 프로그램으로 분류하여 진단할 때 사용됩니다. 아래 그림은 IS 7.0에서 Win-AppCare로 PsKill이라는 프로그램이 진단된 그림입니다. 만약,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시는 사용자라면 아래와 같이 V3 [바이러스 검사]-[검사 설정]-[수동 검사]-[사전 검사 영역 선택]-[사용자 지정] 클릭 후 “유해 가능 프로그램” 체크를 해제 하시거나 “예외 프로그램 설정” 을 클릭하신 후 진단명을 추가해 주시면 V3 검사에서 제외되게 됩니다.
압축파일 진단/치료 후 재압축하기 Posted By ASEC , 2009년 9월 25일 압축파일 내 악성코드가 있을 경우 아래 그림처럼 V3 [바이러스 검사]-[검사 설정]에서 “압축 파일 검사”에 설정을 해 두시면 진단/치료가 가능합니다. 설명은 IS 7.0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까지만 설정을 해두셨다면 압축 파일 내 악성코드 진단 후 “치료하기”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을 보시게 될 것입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2번 항목에 [그대로 두기]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 선택한 항목을 치료하지 않는다고 나와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할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치료 방법 선택하기” 사용자지정에서 [감염된 압축 파일]-[삭제하기] 설정을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치료 후 재압축을 원하시면 맨 아래 설정까지 체크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