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Windows “MsgBox()” HLP File Execution Vulnerability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2일 금일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새로운 0-Day 취약점이 발표되어 알려 드립니다. 해당 취약점은 VBScript를 이용하여 Internet Explorer 6, 7, 8의 Windows Help(.hlp)를 호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자는 원격지에서 원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Windows Help 에 대한 오버플로우 취약점 역시 존재 한다고 합니다. 현재 해당 취약점을 이용하여 실제 공격으로 이루어진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아래와 같이 웹사이트 방문시 F1키의 입력을 요구한다면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기 바랍니다. 그리고 패치가 나오기 전 아래 명령어를 이용하여 winhlp32.exe 파일에 대한 권한을 변경시켜 임시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권한 변경 방법] cacls “%windir%winhlp32.exe” /E /P everyone:N [패치가 나온 후 복구 방법] cacls “%windir%winhlp32.exe” /E /R everyone
A new settings file for the [사용자메일주소] has just be released Posted By ASEC , 2010년 2월 27일 악성 파일을 첨부한 스팸메일은 2010년에도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네요. A new settings file for the [사용자메일주소] has just be released 상기 메일 제목으로 악성파일을 첨부하여 배포되고 있습니다. 메일 내 본문 내용은 아래 회색 박스 안과 같은 내용입니다. 참 그럴 듯하게 작성해 놓았네요. 악성코드를 배포할려면 글을 잘 쓸 필요도 있겠습니다 ^^;;; Dear use of the ahnlab.com mailing service! We are informing you that because of the security upgrade of the mailing service your mailbox [사용자 메일 주소] settings were changed. In order to apply the new set of settings open attached file. Best regards, [사용자 메일 서비스 URL] Technical Support. 첨부된 파일은 settings.zip이며 압축을 푼 모습은 왼쪽 그림과 같습니다. 첨부된 파일은 실행 후 아래와 같이 'XP Guardian'이라는 FakeAV를 실행시켜 허위 진단 및…
Windows 일부 제품의 업데이트 종료 Posted By ASEC , 2010년 2월 27일 Windows Vista Service Pack 0 와 Windows XP Service Pack 2 의 업데이트 지원이 각각 2010년 4월 13일, 2010년 7월 13일 종료되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나와 있습니다. http://blogs.technet.com/lifecycle/archive/2010/02/24/end-of-support-for-windows-xp-sp2-and-windows-vista-with-no-service-packs-installed.aspx 그러므로 XP의 경우 SP3, Vista의 경우 SP2를 적용해 주셔야 합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FamilyID=68c48dad-bc34-40be-8d85-6bb4f56f5110 -> Windows XP SP3 다운로드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displaylang=ko&FamilyID=891ab806-2431-4d00-afa3-99ff6f22448d -> Windows Vista SP2 다운로드 Windows 2000 제품의 경우 2010년 7월 13일 부터 더이상의 업데트는 없다고 하네요. Windows 2000 및 Windows 2003에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blogs.technet.com/lifecycle/archive/2010/02/24/end-of-support-for-windows-2000-and-extended-support-phase-transition-for-windows-server-2003.aspx http://support.microsoft.com/ph/1131#tab0
Internet Explorer 6 장례식 거행 Posted By ASEC , 2010년 2월 26일 인터넷 익스플로러 6의 장례식 사이트가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http://ie6funeral.com/ 해당 사이트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의 사망원인은 최근 발생한 Aurora Exploit 으로 알려진 구글 해킹이 원인이며 자식으로 Internet Explorer 7, 8 을 남겼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최근 구글 해킹사건과 맞물려 독일 및 프랑스 정부에서는 Internet Explorer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번 기회에 아직까지 Internet Explorer 6버젼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제일 최신인 8 버젼으로 업데이트를 권장 합니다. 아니면 최근 급속도로 웹브라우져 점유율을 올리고 있는 파이어폭스나 구글 크롬 브라우져를 이용해 보시는건 어떠신가요?Internet Explorer 8 :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internet-explorer/default.aspxMozilla Firefox : http://www.mozilla.or.krGoogle Chrome : http://www.google.com/chrome
작업표시줄이 나타나지 않는 증상 Posted By ASEC , 2010년 2월 25일 최근 악성코드 치료 후 시스템 재부팅 시 백신 제품의 작동 방해 및 윈도우 작업 표시줄이 한참동안 나타나지 않는 증상이 있는 시스템이 있어 안내 드립니다. 해당 악성코드는 다수의 드라이버 파일을 생성 및 패치 시켜 국내 백신 제품의 작동을 방해하게 됩니다. 현재 V3 제품은 엔진 업데이트 시 주요 파일이 변조되면 복구를 하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작업표시줄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은 악성코드가 등록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로드되지 않아 나타나는 증상으로 추측되며 조치는 아래와 같이 하시기 바랍니다. 1. 작업표시줄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윈도우키 + R키]를 눌러 실행창을 엽니다. 2. 실행창에 “control”을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3. 제어판이 나타나면 [시스템]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4. 시스템 항목에서 [하드웨어] 탭으로 이동하여 [장치 관리자]를 선택 합니다. 5. 아래와 같이 장치관리자가 나타나면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터롤러] 항목에서 아래와 같이 경고 표시가 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