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메일 주의! “Online order for airplane ticket N숫자”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14일 최근 비행기 티켓과 관련된 스팸메일을 발송하여 허위 백신(Fake AV)을 설치하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어 알려 드립니다. 메일은 아래와 같은 제목으로 수신이 되게 됩니다. 제목 : Online order for airplane ticket N숫자 내용 : Good afternoon, Thank you for using our new service “Buy airplane ticket Online” on our website. Your account has been created: Your login: 메일주소 Your password: G6vFjbdp Your credit card has been charged for $998.63. We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whenever you order tickets on our website you get a discount of 10%! Attached to this message is the purchase Invoice and the airplane ticket. To use your ticket, simply print it on a color printed, and you are set to take off for the journey! Kind…
다수의 Zeroday 취약점 권고!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10일 금일 MS 보안패치가 나오자 마자 바로 0-Day 취약점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모두 Microsoft Windows와 Office 관련 취약점으로 이미 해당 취약점 중 익스플로러 관련 취약점은 악성코드 유포에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Microsoft Movie Maker Buffer Overflow http://www.iss.net/threats/362.html Microsoft Excel XLSX code execution http://www.iss.net/threats/363.html Microsoft Internet Explorer use-after-free code execution http://www.iss.net/threats/364.html 위 취약점 들 중 엑셀 관련 취약점은 금일 배포된 보안패치로 해결이 가능한 취약점 입니다. (관련 링크 : http://core.ahnlab.com/131)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이미 Internet Explorer 관련 취약점 입니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이미 악성코드 유포에 사용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파일명으로 유포가 되었다고 합니다. * 20100307.htm (CVE-2010-0806 exploit) * bypasskav.txt (part of exploit obfuscation code) o notes.exe (backdoor installer) + note.exe (backdoor installer copy) + clipsvc.exe (backdoor installer copy) …
아카데미 시상식과 관련된 허위 백신 주의!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9일 현지 시각으로 7일에 미국 LA 코닥극장에서 제82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영화에 관심 많으신 분들은 아시리라 생각이 듭니다.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오스카상을 누가 수상하게 되었는지 궁금할텐대요? 구글에서 “Oscar 2010” 으로 검색 시 주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다수의 페이지가 허위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페이지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현재 다수의 링크가 클릭 시 아래와 같이 허위 백신와 같은 모습이 나타나며 악성코드에 감염이 되었으니 주의를 하라는 메세지를 나타내게 됩니다. 그리고 치료를 위해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을 하도록 유도를 하게 됩니다. 해당 파일은 허위 백신을 설치하는 악성코드 이므로 실행을 절대 하면 안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해당 파일은 V3 제품군에서 Win-Trojan/Fakealert.382464 진단명으로 진단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해당 내용처럼 사회적인 이슈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에 노출시켜 공격을 하는 형태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을 SEO Poisoning Attack 이라고 하는대요….
Taiwan Earthquake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5일 요즘 세계 이곳저곳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는 뉴스를 참 많이 접하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쓰나미까지… 아이티, 칠레에 이어 대만에서도 지진이 발생하여 뉴스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역시나 어김없이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검색엔진에 악의적인 검색 결과가 상위에 노출되도록 하여 Taiwan Earthquake 로 검색한 사용자가 해당 검색 결과를 클릭하도록 유도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Taiwan Earthquake 로 검색한 결과 중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이트로 연결하는 검색 결과입니다. [taiwan earthquake로 검색된 악의적인 검색 결과] 아래 그림은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이트들입니다. 해당 사이트로 연결이 되면 사용자의 컴퓨터를 스캔하는 동작을 위장한 플래쉬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Fig 1. 악성코드 유포사이트_1] [Fig 3. 악성코드 유포사이트_2]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는 사용자의 시스템이 감염되었다는 경고 메세지와 함께 아래 그림처럼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합니다. [Fig 4. 악성코드 다운로드 창] [Fig 5. 다운로드 된 악성코드] 현재…
SEO Poisoning Posted By ASEC , 2010년 3월 3일 SEO Poisoning 이라는 새로운 카데고리를 추가하였습니다. 처음 이 카테고리에 글을 쓰는 것이기 때문에 SEO Poisoning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SEO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검색 엔진 최적화) 의 약자입니다. 사용자들이 검색 사이트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한 결과의 페이지를 2~3페이지 정도만 보기 때문에 자신의 블로그나 사이트를 많이 노출시키기 위해 각 검색엔진의 SEO 알고리즘을 알아내면 자신의 블로그나 사이트를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되게 할 수가 있습니다. 악성코드 제작자 입장에서는 악성코드를 배포할 사이트를 SE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클릭하여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로 연결되게 하는 것입니다. 이 카테고리에서 소개할 내용은 SEO를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에 대해 다룰 것이며 아래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아래 그림은 이전에 아이티 지진 관련하여 검색 사이트에서 “Haiti earthquake donate“로 검색한 결과 중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로 연결되는 검색…